[정치이슈 Q&A] ‘리더십 위기’ 한나라 무엇이 문제인가

[정치이슈 Q&A] ‘리더십 위기’ 한나라 무엇이 문제인가

입력 2011-04-07 00:00
업데이트 2011-04-0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각자도생’ 최고위원들 끼어들기 난무… 관리형 대표체제 한계

171석을 보유한 ‘거대 여당’인 한나라당이 흔들리고 있다. 모두 다 위기를 말하지만, 대안이 보이지 않는다. 백가쟁명식 논쟁만 있을 뿐 앞장서서 ‘깃발’을 들려는 사람도 없다. 당이 나아갈 길을 모색하기보다는 각자도생(各自圖生)하겠다는 자세다. 4·27 재·보선을 앞두고 있어 혼란은 더 커지고 있다. 한나라당 의원들에게 당의 리더십 위기를 들어 봤다.



Q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

A 교통경찰이 없다.

대부분의 한나라당 의원들은 구심점이 없는 것을 걱정한다. 한 핵심 당직자는 “이명박 대통령의 힘이 점점 빠질 게 뻔한데, 이를 대신할 구심력이 생길 기미가 없다.”고 말했다. 체증이 심한 도로에서 운전자들이 자기만 먼저 가려고 끼어들기를 하는데 ‘교통경찰’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Q 리더십 부재의 원인은.

A 관리형 대표의 한계.

안상수 대표는 6일 의원총회에서 “재·보선 결과를 책임질 테니 선거에 악영향을 끼치는 발언은 삼가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나 7일 정몽준·남경필 의원 등이 당 지도부를 공개비판했다. 1주일에 3차례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지도부들이 저마다 자신의 관심사만 말하는 풍경이 관례처럼 됐다. 강재섭 전 대표와 정운찬 전 총리를 놓고 벌어진 분당을 보궐선거 공천 논란이 한나라당의 혼돈을 극명하게 보여 줬다. 한 중진 의원은 “여기저기 눈치를 봐야 하는 관리형 대표체제의 한계가 임계치에 이르고 있다.”면서 “안상수 대표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세 대표라면 청와대와 입장이 달라도 “내가 책임질 테니 믿고 따라오라.”며 설득할 텐데, 청와대뿐만 아니라 다른 최고위원들의 눈치까지 봐야 하는 현 대표 체제에선 이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Q 실세형 대표가 나올 수 없나.

A 가능성 희박.

당에선 “재·보선 이후 지도부 교체가 불가피하다. 내년 총선을 앞둔 만큼 친이계와 친박계의 진검승부가 펼쳐질지도 모른다.”는 예상이 많다. 그러나 실세 대표가 등장할 가능성은 별로 없다. 현재 한나라당의 실세는 박근혜 전 대표와 이재오 특임장관이다. 한나라당 당규에 따르면 대선 1년 6개월 전부터는 대선 후보가 당 대표가 될 수 없다. 박 전 대표가 내년 총선은 이끌겠지만, 당 대표가 될 가능성은 전혀 없다. 따라서 관심은 이 장관에게 집중된다. 이 장관과 가까운 한 의원은 “당에 복귀하는 것 자체를 놓고도 논란이 많을 텐데 당 대표로 나선다면 친박계가 가만히 있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당 대표에 안 나가면 직접 대선 후보를 노린다고 말할 텐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Q 다른 대안은 무엇인가.

A 가능성만 무성.

재·보선 이후 조기 전당대회가 실제로 열린다면 홍준표·정두언·나경원 최고위원, 김무성 원내대표 등이 당권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들은 현재의 지도부여서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않다. 홍준표·정두언 최고위원은 청와대에서 껄끄러워한다고 알려져 있다. 나경원 최고위원은 소장파가 내세울 카드로 거론되나 당의 구심점으로 자리잡을 수 있겠느냐는 회의론도 만만치 않다. 원희룡·남경필 의원이 전면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원 사무총장은 벌써부터 공천 책임론의 비판을 받고 있고, 남 의원은 민간인 사찰을 둘러싸고 이상득 의원 및 청와대와 갈등을 빚었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기득권에 안주해 온 현재의 모습을 버리고 누가 먼저 깃발을 올리느냐가 관건”이라고 내다봤다.

Q 친이계와 친박계의 대립 상황은.

A 분열과 관망.

현재 한나라당은 친이계와 친박계의 갈등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친이계의 분열이라는 시기적 문제가 겹쳐 있다.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를 기점으로 영남 친이계 의원들이 청와대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한 친이계 의원은 “친이계가 정치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뭉친 세력이 아닌데다, 박근혜 전 대표와 같은 구심점도 없어 결속력이 약해지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친박계의 핵심 의원은 “시도 때도 없이 지도부만 교체하려는 발상 자체가 문제”라면서도 “우리는 나설 때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2011-04-07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