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시대’ 與 여의도권력 지형 변화는

‘박근혜 시대’ 與 여의도권력 지형 변화는

입력 2012-12-23 00:00
업데이트 2012-12-23 16: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분간 ‘황우여-이한구 체제’ 유지..5월 이후 재편 전망차기 잠룡들 ‘포스트 박근혜’ 노리며 입지확대 모색할듯

‘박근혜 시대’를 맞아 여권의 여의도 권력지형이 어떻게 바뀔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상 새 정부가 출범하면 그것에 맞게 정부ㆍ청와대와 함께 여의도 권력도 바뀌는 게 일반적이다.

여권의 여의도 권력 ‘빅3’ 는 국회의장과 당 대표, 원내대표 등 3자리다. 이 가운데 19대 국회 출범 직후 취임한 강창희 국회의장 이외에 당 대표와 원내대표 자리의 변화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일단 당내에선 ‘황우여-이한구’ 투 톱 체제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두 사람 모두 정권 재창출에 적지 않게 기여한 만큼 현 체제에 오히려 힘이 더 실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한구 원내대표도 23일 여의도 당사 기자간담회에서 “이제까지 박근혜 대통령을 만들기 위해 열심히 노력을 했는데 앞으로는 좋은 대통령, 훌륭한 대통령을 만들기 위해 힘을 써야한다”면서 “박 당선인의 정치철학 및 국정이념과 관련된 인프라가 잘 깔려야 된다고 생각하며, 국회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일을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원내대표의 임기가 끝나는 5월 초를 전후로 현 지도체제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아직까지 후임 원내대표를 둘러싼 하마평이 오르내리는 단계는 아니지만 친박 핵심 중진과 소장파 의원 등이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박 당선인의 최측근으로 정책통인 최경환 의원이 차기 원내대표로 적임이라는 얘기도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나돌고 있다.

지난 ‘5ㆍ15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황우여 대표의 임기는 오는 2014년 5월까지지만 이번 대선을 진두지휘한 원외 김무성 전 선대위 총괄선대본부장이 4월이나 10월 재보선을 통해 원내에 다시 입성한 뒤 당권에 도전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이런 가운데 이번 선거 과정에서 유세지원에 나섰던 ‘차기 주자’들의 행보도 주목된다. ‘포스트 박근혜’를 노리고 서서히 움직이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개혁 소장파’ 입지를 굳힌 5선의 남경필 의원, 보수진영내 ‘원조 개혁파’로 꼽히는 원희룡 전 의원, 작년 서울시장 재보선 패배 후 ‘정치적 휴지기’를 갖고 있는 나경원 전 의원, 경남지사 출신으로 당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했던 김태호 의원,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이 조금씩 입지를 넓혀갈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