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임기말 최대 위기 ‘北 핵실험’ 예의주시

靑, 임기말 최대 위기 ‘北 핵실험’ 예의주시

입력 2013-02-11 00:00
업데이트 2013-02-11 14: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주 핵실험 가능성 높아…정부, 상황관리 나서

청와대가 설 연휴 마지막 날인 11일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된 동향에 바짝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동안 핵실험이 가능한 것으로 예견된 날짜들을 여러 차례 그대로 넘기고 이제 차기 ‘박근혜 정부’로 정권이 이양되기까지 불과 10여일 남았기 때문이다.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지난 3일 북한의 자주권에 대해 ‘중요한 결론’을 내렸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 뒤 북한의 핵실험이 초읽기에 들어갔다고 전망됐으나, 아직 행동에 착수하지는 않고 있다.

북한이 지난해 12월 장거리 로켓 발사에 성공하면서 핵 운반을 위한 기술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지난 1∼2차 핵실험 당시 국제사회의 압박에도 감행했던 점 등을 들어 청와대 내부에서는 3차 핵실험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청와대 핵심 참모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북한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관리하는 게 정권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하는 데 있어 마지막 과제”라며 “관련 수석비서관실을 중심으로 바짝 신경을 곤두세우고 북한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핵실험 날짜는 북한의 ‘정치적 결단’에 달렸다고는 하지만, 청와대 내부에서는 ‘디데이(D-Day)’를 추측하는 데 전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청와대는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는 오는 25일 전에 북한이 결단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으며, 이번 주 김정일 생일(16일), 미국 공휴일(18일) 등을 예상하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실제로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과 관련, “이번 주가 최대 고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북한이 언제 핵실험을 할지는 김 제1비서만 알 수 있을 뿐”이라며 “하지만 새로 들어설 정부와의 관계를 고려한다면 현 정부 임기가 끝나기 전 실시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외교안보수석실과 국가위기관리실 등은 설 연휴에도 이른바 ‘지하 벙커’로 불리는 국가위기관리 상황실에서 외교통상부, 국방부, 국가정보원과 핫라인을 열어 놓고 비상대응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차기 정부 안보 관련 인사들과도 수시로 연락을 취하며 대북 정보를 공유하는 등 업무 협조를 통해 인수인계에 빈틈이 없도록 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