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전대’ 민주, 당권투쟁 급물살

‘3월 전대’ 민주, 당권투쟁 급물살

입력 2013-02-12 00:00
업데이트 2013-02-12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표·최고위원 누가 출사표

민주통합당이 차기 당권 투쟁 국면으로 빠르게 접어들고 있다. 설 연휴 기간 출마 여부에 대한 생각을 정리한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주자들은 이번 주중 속속 출마 또는 불출마 결심을 내비칠 것으로 보인다. 전당대회가 이르면 3월 말 열린다고 가정할 때 전대까지 불과 한 달여의 기간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분위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탈계파 모임인 ‘주춧돌’ 소속 재선의 이용섭 의원은 설 연휴 마지막 날인 11일 자신의 향후 정치행보와 관련한 자료를 배포해 “광주·전남 시도민들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역 국회의원 중 누군가는 광주·전남을 대표해서 당대표에 도전해야 한다”며 출마에 무게를 실었다. 광주·전남 지역 의원들은 오는 18일 만나 지역 의원 중 1명을 단일 후보로 결정해 출마시키기로 했다.

친노(친노무현)·주류는 직접 후보를 내는 대신 대선 당시 ‘문재인 캠프’ 공동선대본부장을 지낸 대구·경북(TK) 출신의 김부겸 전 의원을 내세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모 의원실에서 지난 1월 말 대의원 1800여명을 대상으로 비공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김 전 의원이 김한길 의원에 이어 지지율 2위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이 밖에 신계륜 의원과 박지원 전 원내대표의 출마설도 있고, 정세균 상임고문도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범주류 쪽 주자로 거론된다.

비주류 쪽에선 김한길 의원의 출마가 점쳐지는 가운데 정동영·정대철·이부영 상임고문이 출마할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논란이 제기돼 온 모바일 투표 경선 방식 폐지 여부 등 ‘전대 룰’ 논의도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민주당이 지난 2월 워크숍 현장에서 실시해 11일 공개한 국회의원·당무위원·지역위원장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모바일 투표 존폐 문제와 관련, ‘모바일 투표 대신 여론조사로 대체해야 한다’는 응답이 30.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완전 폐기’(18.0%) 의견을 합하면 응답자의 48.3%가 모바일 투표 폐지를 주장한 셈이다. 당 정체성과 관련해선 ‘중도적 색채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45.9%로 절반에 가까웠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2-12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