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청년정책 소통영향평가제 도입 추진

새정부, 청년정책 소통영향평가제 도입 추진

입력 2013-02-22 00:00
업데이트 2013-02-22 1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 정부는 청년층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가칭 소통영향평가제 도입을 추진키로 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산하 청년특별위원회는 정부가 청년 관련 주요 국정과제를 수행할 때 청년층과의 소통계획을 의무적으로 수립토록 하는 소통영향평가제 시행방안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에게 보고했다고 22일 밝혔다.

청년특위 관계자는 “2030 청년층은 정부 신뢰감과 정책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청년 눈높이에 맞는 소통창구를 개발해 자발적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청년특위는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에 청년 포털 ‘꿈틀’, 오프라인 청년지원센터 ‘꿈터’를 설치하고 청년 엑스포(EXPO)와 소통 콘서트 ‘청춘순례’도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또 국내 100대 기업과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일자리 창출 성과를 연 2회 평가할 수 있도록 경쟁력 평가지수를 개발해 자발적인 일자리 창출을 유도키로 했다.

청년 인재 육성, 청년 복지 등 내용을 담은 청년발전기본법을 제정하고, 체력과 인성, 지혜의 조화로운 발달을 위한 ‘체인지(體人智)’ 캠페인도 진행할 것을 제시했다.

인수위가 지난달 정부조직 개편안을 발표할 때 밝힌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해 주요부처 장관 등 정부 위원 12명, 민간위원 38명 등 50명 이내 위원으로 구성되며, 다음달 20일 발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청년들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K-무브 추진본부’를 설치, 4년 간 4천800억원의 예산을 들여 글로벌 청년리더 육성, 해외 취업 수요 파악, ‘K-무브 스쿨’ 운영 등을 추진키로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