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사로 본 국정 ④사회문화

취임사로 본 국정 ④사회문화

입력 2013-02-25 00:00
업데이트 2013-02-25 1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국가발전 및 국민행복의 주춧돌로 경제부흥과 함께 ‘국민행복·문화융성’이라는 사회·문화 분야의 국정과제를 제시했다.

경제부흥만으로는 ‘박근혜 정부’가 추구하는 ‘희망의 새 시대’를 구현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박 대통령이 이날 제18대 대통령에 공식 취임하면서 취임사를 통해 “국가가 아무리 발전한다 해도 국민의 삶이 불안하다면 아무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밝힌 점도 맥을 같이 한다.

박 대통령은 ‘국민행복’을 위한 세부 과제로 ▲국민맞춤형 복지 ▲개인의 잠재된 능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교육 ▲국민 생명·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한 사회 등을 꼽았다.

박 대통령이 “노후가 불안하지 않고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이 진정한 축복이 될 때 국민 행복시대는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복지 비전을 제시하면서 ‘국민 맞춤형 복지 패러다임’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복지를 경제성장의 추동력으로 삼아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이 같은 맥락에서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새 정부의 5대 국정목표에 ‘맞춤형 고용·복지’를 제시한 바 있다. ‘창조경제’의 성장전략과 ‘맞춤형 복지’의 복지전략이 새 정부의 양 날개인 셈이다.

박 대통령은 나아가 ‘국민행복’에 한발짝 다가가기 위한 주요 과제로 교육을 꼽았다.

박 대통령은 “교육을 통해 개인의 잠재된 능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국민 개개인의 능력을 주춧돌로 삼아 국가가 발전하게 되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국정운영의 패러다임을 국가에서 국민으로 바꾸겠다고 역설해온 박 대통령의 구상과 무관치 않다. 박 대통령은 이날도 “어느 나라나 가장 중요한 자산은 사람”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따라서 새 정부에서는 학생의 소질·능력을 찾아내는 교육,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가 이뤄지는 교육시스템, 나아가 학벌위주가 아닌 능력위주의 사회를 만드는데 교육 정책의 방점이 찍힐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박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다시한번 ‘안전한 사회’를 천명했다.

박 대통령은 “대한민국 어느 곳에서도 여성이나 장애인 또는 그 누구라도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데 정부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때부터 성폭력·학교폭력·가정파괴범·불량식품 등 ‘4대 악’을 없애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밝혀왔고, 이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수단으로 ‘공정한 법 실현’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21세기는 문화가 국력인 시대”라며 “국민 개개인의 상상력이 콘텐츠가 되는 시대”라며 문화융성을 경제부흥, 국민행복과 함께 국정의 3대 축 중 하나로 거론했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은 문화융성을 새로운 성장동력 차원에서만 접근하지 않았다. ‘문화’를 고리로 창조경제·일자리 창출을 이끌어내는 동시에 사회 갈등을 치유하겠다는 복안을 밝힌 것이다.

박 대통령은 “문화의 가치로 사회적 갈등을 치유하고 지역과 세대와 계층 간의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 생활 속의 문화, 문화가 있는 복지, 문화로 더 행복한 나라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