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춘 “대통령이 與에 재량권 주는게 ‘새 정치’”

박기춘 “대통령이 與에 재량권 주는게 ‘새 정치’”

입력 2013-03-14 00:00
업데이트 2013-03-14 09: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통합당 박기춘 원내대표는 14일 정부조직법 협상과 관련, “여당이 방송의 ‘방’자도 말하기를 주저하는데, 박근혜 대통령이 여당에 재량권을 주는 것이 국민을 바라보는 새로운 정치”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고위정책회의에서 “방송장악은 있을 수도 없고 불가능하다는 박 대통령의 뜻을 새누리당 지도부에 전해달라. 여당에게 과감하게 공정방송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해달라”고 주문했다.

그는 “협상 타결 고지가 눈 앞에 있다. 1%, 한걸음만 내딛으면 가능하다는 것을 대통령도 알고 새누리당도 안다”며 “공정성과 ICT(정보통신기술) 융합을 둘 다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은 언제까지 협상을 이렇게 할 것인가. 국민의 분노가 안들리는가”라며 “주말을 넘겨선 안된다. 함께 결단하자”고 촉구했다.

그는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에 대해 “국방장관은 브로커, 골프장, 장관병, 34개 의혹 신기록 제조기가 욕심낼 자리가 아니다”라며 “용퇴가 국가에 헌신하는 길”이라고 자진사퇴 및 대통령의 내정철회를 거듭 요구했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에 관해서도 “탈세, 위장전입, 재개발 투기 등 도덕성은 물론 시대구상도, 재정대책도 없는 무소신·무능력 후보를 첫 경제수장으로 임명해야 한다는 것은 적절치 않다. 한국경제의 앞날이 캄캄하다”며 “아주 부적격하다는 게 국민과 우리 당의 지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