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공직사회부터 학벌과 상관없이 채용해야”

朴대통령 “공직사회부터 학벌과 상관없이 채용해야”

입력 2013-03-28 00:00
업데이트 2013-03-28 11: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부·문화부 업무보고…”국가직무능력표준 조속 완성해야”

박근혜 대통령이 28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교육부ㆍ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에 앞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28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교육부ㆍ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에 앞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은 28일 교육시스템 개혁과 관련, “학벌이 아닌 능력으로 평가받는 사회를 만들려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조속하게 완성해 공직사회부터 학벌과 상관없이 채용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교육과 문화는 국민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을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분야”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교육의 틀을 창의교육으로 바꿔가기 위해서는 이에 부합하는 평가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학벌과 상관없이 직무능력에 따라 차별없이 보수를 지급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대학입시에서 학교 교과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나지 않도록 해 교과서 공부만으로 원하는 수준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급격한 입시제도변화로 혼란을 주는 것보다는 몇 가지 핵심정책을 일관성있게 추진해나간다면 사교육 문제 해결은 물론 학벌중심 사회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새로운 교육ㆍ문화복지 틀의 구축과 관련, “복지의 출발이 교육에 있고 복지의 완성이 문화에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평생교육체계를 세우는 정책도 매우 중요한 만큼, 모든 국민이 쉽게 평생교육체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추진해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대학도 평생교육체제 안에서 그 역할을 더 적극적으로 감당해야 하는 시기가 오지 않았나 생각한다”면서 “사회에 진출했더라도 지식이 더 필요하다는 걸 느낀다면 다시 또 대학이나 이런 데 가서 평생을 공부할 수 있는 그런 여건이 앞으로 (조성)돼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부산 산동네 마을을 방문하고 전국의 문화유산을 답사했던 자신의 경험을 예로 들며 “창의적인 발상을 하면 지역주민들도 문화를 향유할 수 있고 소득도 올릴 수 있다”면서 “각 지역에 산재한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문화관광 차원으로 개발한다면 문화유산 선양은 물론이고 주민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