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대선 이전으로 돌아간 야권 시계

2012년 대선 이전으로 돌아간 야권 시계

입력 2013-03-31 00:00
업데이트 2013-03-31 08: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철수 문재인 행보 재부상…친노 패권주의 논란 재연

대선 패배의 충격파가 덮친지 3개월여가 흘렀지만 민주통합당 등 야권의 시계는 다시 대선 전으로 되돌아간 흐름이다.

제1야당인 민주당이 구심점을 잃은 상황에서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가 다시 전면에 등장하며 야권 지형을 뒤흔들 변수로 재부상했고, 대선 패배 후 칩거해온 문재인 전 후보도 4·24 재보선 지원을 계기로 복귀의 모멘텀을 찾아가는 모습이다.

대선 기간 내내 전개됐던 민주당내 친노(친노무현)·주류와 비주류간 무한대치는 차기 당권의 향배를 결정할 5·4 전대를 앞두고 여전히 ‘진행중’이며, 대선의 화두로 떠올랐던 ‘새정치’와 혁신도 미완의 숙제로 남아 있다.

대선 당일 미국행을 선택, 잠시 대중의 시야에서 사라졌던 안 전 교수는 지난 11일 귀국과 함께 4·24 노원병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 정치활동을 전격 재개하면서 야권의 한 축으로 다시 떠올랐다.

대선 국면에서 기성 정치권에 대한 혐오를 등에 업고 득세했던 ‘안철수 현상’이 민주당의 지리멸렬한 모습과 맞물려 재연되면서 대선 전 막연한 두려움으로 작용했던 안 전 교수의 독자세력화 가능성이 민주당으로선 현실적 위협으로 다가오는 형국이다.

지난 대선에서 문 전 후보와의 단일화 과정에서 후보직을 양보한 안 전 교수로선 이번 노원병 선거 과정에서도 또다시 단일화 문제를 놓고 가볍지 않은 숙제를 받아들게 됐다.

여야간 ‘1대다(多)’ 대결구도 형성으로 새누리당 허준영 후보와 각축을 벌이게 된 상황에서 ‘자력 승리’와 단일화라는 갈림길에서 딜레마에 처하게 됐기 때문이다.

안 전 교수의 원심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말로는 혁신과 계파 청산 등을 외치고 있지만 주류-비주류간 반목과 대립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민주당의 현주소도 대선 이전과 판박이라는 지적이다.

지난해 1·15, 6·9 전대와 대선 경선을 거치면서 당내 기득권을 행사해온 친노·주류와 이에 반발해온 비주류의 힘겨루기는 대선 이후에는 대선 패배 책임론과 전대룰 등을 둘러싼 갈등으로 전이되며 마치 변주곡처럼 재생산돼 왔다.

당장 이번 전대만 하더라도 대세론 구축에 나선 비주류의 김한길 의원과 이에 맞선 범주류 주자들의 ‘반(反) 김한길 연대’간 대립의 장으로 변질되는 조짐이다.

대선 이후 책임론 등을 의식, 표면적으로는 뒤로 빠져 있는 모양새를 연출해온 친노·주류에 대해 비주류가 ‘친노 패권주의’에 대한 경계심을 좀처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도 친노 핵심 9인방의 백의종군 선언과 이해찬 전 대표 사퇴에도 불구, 친노가 당 장악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대선 이전 상황과 묘하게 오버랩된다.

이런 상황에서 친노의 좌장격인 문 전 후보와 이 전 대표가 5·4 전대 국면의 한복판에서 치러지는 재보선에서 각각 부산 영도와 충남 부여·청양 선거 역할론을 발판으로 ‘귀환’을 목전에 둔 상황도 당내 역학구도와 맞물려 미묘한 파장을 낳고 있다.

대선 후 암중모색해온 친노 진영이 다시 결집, 공간 확보를 모색해 가는 계기가 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에서다. 실제 친노는 이번 전대에서 아직까지 독자 후보를 내지 못했지만 당내 최대 세력으로서 ‘반 김한길 전선’에 힘을 보태는 방식으로 세 과시에 나서지 않겠느냐는 게 비주류의 시선이다.

다만 이번 재보선이 민주당으로선 쉽지 않은 선거라는 점에서 문 전 후보나 이 전 대표가 극적인 역전극 연출에 실패할 경우 영향력 회복의 폭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대선 경선에서 쓴잔을 마신 뒤 올초 독일 유학을 떠났던 손학규 상임고문이 오는 7월 국내로 ‘컴백’할 예정이어서 재보선과 전대 후 전개될 야권내 세력재편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지 주목된다.

일각에선 대선 전 독대했던 손 고문과 안 전 교수가 ‘비노’와 중도 노선을 고리로 연대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시나리오도 모락모락 피어나오고 있다.

천정배 전 의원이 내달 8일 광주에 변호사 사무실을 내는 것을 두고 일부에서 광주시장 도전설이 나오는 등 당내 중량급 인사들의 활로 모색 움직임도 조금씩 가시화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