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창조경제’ 해석 제각각…구체화 방안 부심

與 ‘창조경제’ 해석 제각각…구체화 방안 부심

입력 2013-04-02 00:00
업데이트 2013-04-02 11: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종인, 비판론에 “이해못해 그러는 것”…김광두 “장기비전”

박근혜 대통령의 간판 대선공약이자 새 정부의 경제성장기조인 ‘창조경제’의 개념이 추상적이라는 비판이 잇따르면서 새누리당이 구체화 방안에 고심하고 있다.

야당 뿐 아니라 여당인 새누리당 내에서조차 ‘창조경제가 모호하다’는 비판론이 제기됐으나 정작 여권에서는 창조경제에 대해서는 누구 하나 속시원한 설명을 내놓는 사람이 없어 해석만 분분한 상태다.

정부 쪽에서는 창조경제를 놓고 “융합형 선도형 경제”(현오석 경제부총리), “서비스와 솔루션,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 새로운 블루오션을 만들어나가는 것”(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 “두뇌를 활용해서 세계에 없는 것을 만들어내는 것”(윤종록 미래부 2차관) 등의 설명이 나온 상태다.

그러나 지난 주말 고위 당정청 워크숍에서 잇따랐던 비판처럼 아직도 손에 잡히지 않는 개념이라는 지적이 다수다.

박 대통령의 경제공약 입안을 주도했던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은 2일 M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창조경제는 장기비전으로 말하자면 멀리 떠 있는 어떤 구름 같은 것”이라며 “망원경을 길게 빼서 가까이 가서 보면 알 수 있는데 멀리서 보면 좀 애매한 요소가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경제적 가치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애로사항도 있고 그것이 결말을 내기까지 성공 여부를 포함해 적어도 2~3년은 걸릴 것”이라며 “길게 보고 여유 있게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각 부처 장관의 ‘창조경제론’에 대해선 “전공에 따라 전체 그림 중에 각각 자기가 잘 아는 부분을 설명한 것으로, 큰 그림을 자기가 익숙한 부분만 설명하기 때문에 혼란이 생긴 것”이라며 “하나로 모으도록 코디네이터(조정)를 누가 해주면 된다”고 설명했다.

상황이 답답해지다보니 최근 새누리당과 새 정부 인사는 ‘창조경제’ 개념을 처음 성안해 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으로 내놓았던 김종인 전 국민행복추진위원장에게 ‘개념정리’를 요청하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그들이) 이해를 못해서 그런 것이다. 그것을 만들어줄 때 다 설명했는데 이제 또 무엇을 새삼스럽게 얘기할 필요가 있겠느냐”며 “나는 더 이상 얘기를 안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10월 공약발표 당시부터 창조경제에 대해 구체안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만큼 이번 논란은 예견된 것이라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대선공약에 관여했던 안종범 의원은 “창조경제는 거창한 슬로건이 아니라 과학기술, 정보통신(IT)기술을 최대한 활용해 기존 산업에 융합해 새로운 발상을 하자는 것”이라며 “창조경제 개념이 모호한 것보다 뭔가 가시적 성과가 눈에 보이면 분명한데, 결과가 나오는 것을 앞으로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