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나댄다고 할까봐 조용히 있으니…”

친박 “나댄다고 할까봐 조용히 있으니…”

입력 2013-04-03 00:00
업데이트 2013-04-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날 나온 정도 아니겠나.”

최근 당·청 간의 기류를 묻자 2일 청와대의 한 관계자가 “더 악화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내놓은 말이다. 지난달 30일 열린 새 정부 첫 당·정·청 워크숍에서 여당의 질책이 쏟아진 것 이상으로 상황이 나빠지지 않도록 관리하겠다는 의미이기도 했다. “지금 비서실별로 원활한 당·청 관계를 위해 협조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당으로부터 차질없이 국정 뒷받침을 받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청와대가 ‘정치’를 시작한 듯 보인다. 여당 대표와의 정례 회동, 당청 회동을 수시로 하고 야당에 대해서도 중요 정책을 미리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작업을 할 계획이다. 청와대의 또 다른 인사는 “현재 당·청 간에 드러난 문제가 있다면 ‘시차’(時差) 때문인데, 그런 것들은 조금만 신경 쓰면 금방 해소될 일 아니겠느냐”고 진단했다. 사전에 의견을 구하고 국정에 반영하는 등 국정의 한 축으로 존중해 주면 누그러질 불만이라는 얘기다.

국회에서는 친박(친박근혜)계도 나서려는 중이다. 한 친박계 인사는 “나대는 모습으로 비칠까 봐 조용히 있었는데 이제는 그럴 때가 아닌 것 같다. 조만간 이런저런 모습으로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 달 예정된 원내대표 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청와대는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 반등에도 신경을 쓸 생각이다. 다음 달 초 미국 순방 이후 정상 궤도에 올린 뒤 석 달 안에 지지율을 대선 수준으로 끌어올리려 하고 있다. 이후 대선 공약과 개혁 정책 등을 구체적으로 구현해 나가고 대국민 홍보도 강화해 갈 계획이다. 박 대통령도 이번 주 중 부처별 업무보고가 마무리되면 바로 현장으로 나가 대민 접촉면을 넓히면서 적극적인 민생 행보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 모든 것은 제기됐던 불만에 가시적인 성의를 내놓는 것을 전제로 한다. 예컨대 “개념이 추상적”라는 비판이 제기된 창조경제나 정부 3.0 등 새 정부의 핵심 기조를 구체화하는 일 등이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