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정부 첫 재·보선 결과는

역대 정부 첫 재·보선 결과는

입력 2013-04-25 00:00
업데이트 2013-04-25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MB정부-기초단체장 6곳 중 5곳 與 참패, 참여정부-국회의원 선거 3곳 모두 與 패배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실시된 4·24 재·보궐 선거를 계기로 역대 정권 출범 이후 첫 번째 선거 결과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명박 대통령 취임 후 100여일이 지난 뒤 치른 2008년 6·4 재·보선에서는 두 달 전에 열린 4·9 총선과 정반대 결과를 낳았다. 총선에서 압승을 거뒀던 집권 여당 한나라당이 정작 재·보선에서는 참패를 당한 것이다.

전국 52개 선거구에서 실시된 선거 결과 한나라당은 공천자를 낸 기초자치단체장 6곳 중 단 한 곳에서만 당선자를 배출했다. 수도권은 물론 텃밭인 영남권에서도 고배를 마셨다. 반면 민주당은 3곳, 무소속 후보는 5곳에서 각각 승리했다. 당시 선거는 ‘미국산 소고기 수입 파동’과 맞물리면서 여당에 대한 기대 심리보다는 견제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평가됐다.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첫 선거인 2003년 4·24 재·보선에서도 여당인 민주당의 패배로 마무리됐다. 국회의원 3개 선거구 중 민주당은 단 한 개의 의석도 확보하지 못했고, 야당인 한나라당은 2개 의석을 확보했다.

광역의원 4개 선거구에서도 민주당은 당선자를 내지 못한 반면 한나라당은 2곳을 차지했다.

김대중 정부 때 처음 맞이한 1998년 4·2 재·보선의 경우 영남권 국회의원 4개 선거구에서 여야가 격돌했다. 당시 공동 정부를 구성한 새정치국민회의와 자유민주연합은 연합공천을 통해 야당인 한나라당의 아성에 도전했지만 전패로 끝났다.

그러나 두 달 뒤에 치른 6·4 지방선거에서는 정권 초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극복 분위기에 힘입어 여당이 승리를 거뒀다.

이명박·노무현·김대중 정부 출범 후 첫 번째 재·보선이 이른바 ‘여당의 무덤’이 됐던 반면 이에 앞서 김영삼 정부 출범 직후 실시된 1993년 4·23 재·보선에서는 여당인 민주자유당이 승리했다.

민주자유당은 야권 강세 지역이던 경기 광명에서 정치 신인인 손학규 후보를 내세워 바람몰이에 성공하면서 국회의원 3개 선거구 모두를 석권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04-25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