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김무성·이완구 당선…정치지형 급변

안철수·김무성·이완구 당선…정치지형 급변

입력 2013-04-25 00:00
업데이트 2013-04-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철수 신당’ 주목…여야 내부 역학구도 변화 불가피10월 재·보선 변곡점…올 하반기 ‘여소야대’ 가능성

4·24 재·보궐선거 개표결과 서울 노원병 보선에서 무소속 안철수 후보, 부산 영도 재선거에서 새누리당 김무성 후보, 충남 부여·청양 재선거에서 새누리당 이완구 후보가 각각 당선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서울 노원병의 경우 개표가 완료된 가운데 안철수 후보가 60.5%의 득표율로 32.8%를 얻은 새누리당 허준영 후보를 제치고 당선됐다. 진보정의당 김지선 후보는 5.7%, 통합진보당 정태흥 후보는 0.8%, 무소속 나기환 후보는 0.2%를 각각 얻었다.

부산 영도에선 개표가 완료된 가운데 김무성 후보가 65.7%를 얻어 22.3%에 그친 민주통합당 김비오 후보를 따돌리고 5선 고지에 올랐다. 통합진보당 민병렬 후보는 12.0%를 얻었다.

부여·청양에선 89.7%가 개표된 가운데 이완구 후보가 77.3%의 득표율로 16.9%를 얻은 민주당 황인석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통합진보당 천성인 후보는 5.7%를 얻었다.

이들 ‘빅3’의 당선으로 국회의원 재·보선 지역 3곳 가운데 새누리당이 2곳, 무소속이 1곳에서 승리를 각각 거뒀다.

민주당은 노원병에 아예 후보를 내지 않았으며 나머지 2곳에선 패배했다.

이번 선거결과로 새누리당 의석수는 152석에서 154석으로, 무소속은 6석에서 7석으로 각각 늘어난다. 민주당(127석)과 진보정의당(6석), 통합진보당(6석) 의석수에는 변함이 없다.

안철수 후보의 여의도 입성과 김무성·이완구 후보의 여의도 컴백은 지난해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거치면서 고착화된 지금의 정치지형 변화에 적잖은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정치권에선 안 후보의 정치무대 전면 등장이 야권의 정치적 유동성을 증대시키면서 ‘안철수 신당’ 가능성 등 정계개편의 신호탄으로 작용할 공산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김무성·이완구 두 ‘거물’의 여의도 복귀는 여권의 역학구도 변화와 맞물려 있다.

더욱이 10월 재·보선 대상 지역이 10곳 안팎에 달할 것으로 보여 후반기 정국의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야권발(發) 정계개편이나 여권의 역학구도 변화 역시 10월 재·보선과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재·보선 대상 지역 상당수가 새누리당 소속 지역구일 공산이 커 ‘여소야대’(與小野大) 정국으로의 전환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편 이번 재·보선 투표 마감 결과 국회의원 선거 3개 선거구의 평균 투표율은 41.3%로 잠정 집계됐다.

선거구별로는 ▲서울 노원병 43.5% ▲부산 영도 36.0% ▲충남 부여·청양 44.2% 등이다.

이날 국회의원 선거와 같이 실시된 경남 함양군수 선거에선 무소속 임창호 후보가 30.5%를 얻어 같은 무소속 서춘수(28.8%) 김재웅(22.2%) 이창구(18.5%)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경기 가평군수 선거에선 82.8% 개표가 완료된 가운데 무소속 김성기 후보가 38.5%의 득표율로 같은 무소속 박창석(30.7%) 정진구(18.7%) 육도수(3.8%), 민주당 김봉현(8.3%) 후보를 제치고 당선이 확실시 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