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부질문] 점심 후 의원석 ‘텅텅’… 기습 ‘출석체크’ 해보니 59명뿐

[대정부질문] 점심 후 의원석 ‘텅텅’… 기습 ‘출석체크’ 해보니 59명뿐

입력 2013-04-26 00:00
업데이트 2013-04-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대정부질문 이모저모

박근혜 정부 들어 첫 대정부 질문이 진행된 25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의원들의 출석을 점검하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점심 식사 이후 대다수 의원들이 오후 2시 본회의 속개 시간까지 본회의장에 들어가지 않아 의사정족수를 채우지 못하면서다.

텅 빈 의원석
텅 빈 의원석 박근혜 정부 들어 첫 국회 대정부 질문이 25일 열렸지만, 오전 회의를 마치고 점심식사를 위해 자리를 떠난 뒤 돌아오지 않은 의원들이 많아 몇몇 의원만 오후 속개된 회의장을 지키고 있다. 맨 오른쪽 국무위원석의 일부 장관들이 텅 빈 의원석을 바라보고 있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의사 진행을 맡은 민주통합당 소속 박병석 국회 부의장은 출석자 명단을 ‘속기록’에 적도록 해 뒤늦게 도착하거나 아예 출석하지 않은 의원들은 톡톡히 비난을 받게 됐다.

올해 세비(연봉)만 1억 4500여만원에 이르고, 의원들 스스로 연봉을 2001년 대비 12년간 163%나 올린 행태를 감안하면 혈세를 낭비하는 낯 두꺼운 ‘금배지’라는 오명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정치, 외교, 통일, 안보 분야를 주제로 진행된 대정부 질문은 오전 11시 45분쯤 점심식사를 위해 정회된 뒤 오후 2시 속개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오후 2시가 돼도 본회의장 내 대부분의 자리가 비어 있었다. “대정부 질문을 진행해야 하니 의원들은 자리해 달라”는 장내 방송이 반복됐지만 의사정족수인 5분의1 즉, 전체 300명 가운데 60명을 채우지 못해 대정부 질문은 20여분간 열리지 못했다.

이에 박 부의장은 느닷없이 본회의장에 먼저 도착한 의원들의 이름을 부르기 시작했다. 호명된 의원 수는 의사정족수에 1명 부족한 59명이었다. 그는 출석을 부른 뒤 “지역구와 상임위 활동에 바쁘신데도 불구하고 출석해 주신 분들”이라며 “의사국에서는 이 명단을 속기록에 기록해 달라”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정홍원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치, 외교, 통일, 안보 분야 장관들은 제 시간에 본회의장에 착석해 의원들이 들어오기를 마냥 기다려야 했다.

대정부 질문에서 의원들의 불출석 문제는 처음이 아니다. 국회 관계자는 “의석이 대부분 빈 상태지만 정회하지 않고 진행된 사례가 숱하게 많다”고 말했다. 대정부 질문에 출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의원들은 “여야가 정치 공세를 펼치는 장에 불과하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들었다. “총리와 장관을 데려다 놓고 큰소리치지만 정작 알맹이가 없다”는 항변이다. 국회가 국정 전반에 대한 질문을 하며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도입된 대정부 질문의 본래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

이날도 마찬가지였다.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은 오후 본회의에서 대정부질문과 무관하게 야당 의원들을 향해 “민주당은 종북세력과 결별하십시오. 이해는 합니다만, 김정은 위원장을 김정은이라 불러서 문제가 된다는 것인데 김정은은 김정은일 뿐입니다”라고 말해 한바탕 소란이 일었다. 질문을 마친 김 의원이 자리로 돌아가려 하자 박 부의장은 “김진태 의원 인사하고 가세요. 품격 있는 국회가 돼야 합니다”라고 꼬집기도 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3-04-26 4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