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취임 100일] 비유·반복화법에 깨알지시… 방미땐 패션외교

[박근혜 대통령 취임 100일] 비유·반복화법에 깨알지시… 방미땐 패션외교

입력 2013-06-03 00:00
업데이트 2013-06-03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80도 달라진 ‘박근혜스타일’

‘대선주자 박근혜’와 ‘대통령 박근혜’는 화법과 옷차림 등에서 180도 달라졌다.

박 대통령은 당 대표와 대선후보 시절만 해도 ‘간결 화법’으로 유명했다. “참 나쁜 대통령”, “국민도 속고 나도 속았다” 등 압축적인 의미를 담은 한 문장으로 상황을 정리하곤 했다.

그러나 대통령 취임 이후에는 ‘비유 화법’을 즐겨쓰고 있다. ‘손톱 밑 가시’(중소기업에 대한 불합리한 규제), ‘신발 속 돌멩이’(서민들이 겪는 어려움), ‘정책의 등대’(정책 방향), ‘애기(정책)을 낳는 게 다가 아니라 어떻게 잘 키우느냐가 문제다’ 등이 대표적이다. 정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치적 수사 대신 감성적 어휘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복 화법’과 ‘깨알 지시’도 전에는 볼 수 없었던 표현 방식이다. 같은 얘기를 끊임없이 되풀이하고, 정책 현안에 대한 아주 세세한 내용까지 일일이 전달하는 것이다.

실제 박 대통령은 지난 5월 20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200자 원고지 60장 분량인 1만 2000자에 가까운 발언을 쏟아냈다. 여기에는 유치원 교육 과정 개선부터 북극 항로 개발까지 14개 주제가 포함됐다. 일종의 ‘정책 가이드라인’으로서 국정 철학과 목표 등을 공유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되지만, 참모진들의 역할과 권한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옷차림도 대통령 취임 전후가 크게 바뀌었다. 취임 이전에는 중요한 정치적 순간마다 바지 정장을 즐겨 입었고, 이런 옷차림은 ‘전투복’이라 불리기도 했다. 취임 후에는 다양한 의상에 전략적 의미를 담아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 5월 초 방미 기간에는 한복과 정장을 적재적소에 연출하는 ‘패션 외교’가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에 앞서 ‘완판 대통령’이라는 별칭도 얻었다. 박 대통령의 가방과 지갑, 브로치 등 패션 소품들이 시중에서 불티나게 팔린 것이다. 4000원짜리 ‘소산당’ 손지갑, 명품 가방이라는 오해를 샀던 ‘타조백’ 등이 대표적이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06-03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