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적 자유주의’ 야권연대의 ‘고리’될까

’진보적 자유주의’ 야권연대의 ‘고리’될까

입력 2013-06-19 00:00
업데이트 2013-06-19 1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자세력화를 모색하고 있는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19일 자신의 정치노선으로 ‘진보적 자유주의’를 내세우면서 야권이 술렁이고 있다.

무엇보다도 안 의원이 이념적 좌표를 분명히 함으로써 앞으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치열한 노선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은 일단 민심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진보적 자유주의’라는 개념이 안 의원의 ‘특허물’이 아닌 야권에 오래된 화두라는 것을 부각시키고 있다. 정치적 의제에 대한 주도권을 안 의원에게 빼앗기지 않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민주당 문재인 의원은 지난 16일 기자들과의 산행에서 진보적 자유주의에 대해 “과거 유시민 전 복지부 장관과 최태욱 한림대 교수 등 많은 분이 그런 표현을 써왔다”면서 공감을 표시했다.

특히 그는 “국민의정부와 참여정부도 진보적 자유주의적 입장에 있었다”면서 “민주당 내에서도 새누리당처럼 보수적인 분들이 일부 있지만, 다수는 진보적 자유주의 입장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내부에선 손학규 전 대표가 이미 지난 2000년 ‘진보적 자유주의의 길’이라는 제목의 책을 펴낸 적도 있음을 강조한다.

당의 새로운 활로 모색을 지상과제로 삼고 있는 진보정의당 내부에서도 환영과 견제가 엇갈렸다.

노회찬 공동대표는 지난 18일 기자간담회에서 “갑자기 발견된 것은 아니고 낯익은 기치”라면서도 “진보적 자유주의가 진보정당의 한 부분이 될 수는 있지만 진보의 중심이 되는 게 바람직한 구도는 아니다”고 말했다.

’진보적 자유주의’가 야권의 포괄적인 가치로 떠오르면서 일각에선 내년 지방선거나 오는 2017년 대선에서 야권을 한 울타리로 묶는 매개체가 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다만 당장은 각 주체들이 ‘진보적 자유주의’를 정책으로 구현할 콘텐츠에 대해 생각을 달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치열한 공방과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안 의원 측의 무소속 송호창 의원은 19일 독일 경제모델을 연구하는 야당 의원들의 모임인 ‘혁신과 정의의 나라 포럼’에 참석해 ‘진보적 자유주의’를 내세우며 민주당에 직격탄을 날렸다.

송 의원은 지난해 민주당의 국회의원 세비삭감 공약에 대해 “세비를 많이 받는 게 아니라 세비를 받고 제대로 일을 못하는 게 문제”라고 “국가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시민의 자율성을 중시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해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의 한 수도권 3선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가중심주의 퇴조와 시민의 권리·참여 확대, 거대한 데이터 문명으로의 이동 등 새로운 현상을 진보적 자유주의로 포괄할 수 없다”면서 “새로운 현상에는 새로운 개념이 적용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