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정원 공방’, NLL로 불똥…맞고소전 비화

여야 ‘국정원 공방’, NLL로 불똥…맞고소전 비화

입력 2013-06-19 00:00
업데이트 2013-06-19 15: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야 상임위원장끼리 고소·수사의뢰 ‘난타전’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의혹 사건 국정조사 여부를 둘러싼 여야간 공방이 난데없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논란으로 옮아붙고 있다.

또 이 두 사건과 함께 국회 정보위원회 파행 문제를 고리로 여야 상임위원장이 맞고소전을 벌이고, 같은 상임위 내 여당 위원장과 야당 간사가 ‘돈봉투’ 문제를 놓고 ‘진실게임’을 벌이는 등 정국이 난타전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NLL 포기 발언’ 논란은 민주당 소속 박영선 국회 법사위원장이 지난 17일 법사위에서 국정원발(發) 제보라며 “지난해 NLL 포기 논란이 국정원과 새누리당이 짜놓은 시나리오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재점화됐다.

NLL 의혹을 처음 제기한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은 다음날인 18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NLL 문제는 이미 검찰수사를 거쳐 사실 관계가 밝혀졌다. 박 의원의 주장은 허위사실”이라며 박 의원에 대한 검찰의 즉각적인 수사를 촉구했다.

같은 당 소속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박 의원이 이 문제를 다시 제기한 것은 천만다행이다. 이번 기회에 전직 대통령의 NLL 발언 논란에 마침표를 찍어야 한다”면서 “검찰 수사는 물론 필요하다면 국정조사도 실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태흠 원내대변인도 브리핑에서 “아직 조사도 끝나지 않은 국정원 사건(정치·선거개입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를 요구하기에 앞서 NLL 관련 국정조사에 먼저 응할 것을 요구한다”며 검찰 수사와 함께 NLL 대화록 공개를 주장했다.

서상기 정보위원장과 박영선 법사위원장은 파행 중인 국회 정보위 개최 문제를 놓고 고소, 수사의뢰 카드로 정면충돌했다.

박 위원장이 지난 16일 기자회견에서 국회 정보위가 열리지 않는 이유를 거론하면서 “남재준 국정원장과 서상기 정보위원장의 거래 문제”라고 언급한 것이 발단이 됐다.

서 위원장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전날 박 위원장을 형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남부지검에 고소했고, 이에 맞서 박 위원장은 이날 직권남용 혐의로 서 위원장에 대한 수사의뢰 검토 방침을 밝혔다.

이런 가운데 서 위원장과 야당 간사인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돈봉투 문제를 놓고 진실공방을 벌이고 있다.

정 의원은 이날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국정원 사건으로 국회 정보위 개최를 민주당이 끊임없이 요구하던 지난 3월에 (서 위원장이) 제게 (외교통일위) 국외출장을 잘 다녀오라며 봉투 하나를 줬으나 ‘뜻만 고맙게 받겠다’며 돌려보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서 위원장에게 “이 말이 사실이 아니라면 저를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고소하라”면서 “저를 고소 안 하면 뇌물공여 직무유기, 직무태만으로 고소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서 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보위에서는 국외 출장을 간 일이 없고, 국정원장 인사청문회 이후로 정 의원을 만난 적도 없는데 ‘출장 잘 다녀오라’면서 봉투를 주었겠느냐”며 “말도 안 되는 소리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고 부인했다.

서 위원장은 향후 대응책을 묻는 질문에는 “신경 쓸 것 없다”고만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