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역사과목 평가기준 넣어 어떻게든지 반영”

朴대통령 “역사과목 평가기준 넣어 어떻게든지 반영”

입력 2013-07-10 00:00
업데이트 2013-07-10 15: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선정 논의 힘받을듯…논란 예상

박근혜 대통령은 10일 일부 청소년들의 역사인식 부족 논란과 관련, “역사 과목은 (학력) 평가기준에 넣어 어떻게 해서든지 (성적에) 반영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낮 청와대에서 언론사 논설실장ㆍ해설위원 초청 오찬에서 역사교육에 대한 질문을 받고 “역사는 그 나라 국민의 혼과 같은 것인데 역사를 제대로 배우지 않고 시민으로 자란다면 혼이 없는 사람이 될 수도 있고, 거기에 왜곡된 잘못된 인식이 되게 되면 이건 굉장히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자기 뿌리를 모르고 어떻게 해서 오늘의 내가 있느냐를 모르고 산다는 것은 아주 상상하기 어려운 일인데, 우리 현실이 이렇게 돼버렸다”며 “우리가 국민 통합을 이야기하지만 이런 가치와 자기 뿌리에 대한 어떤 공감대가 있지 않으면 통합이 안 된다고 생각해서 그런 면에서도 이 역사교육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 “정말 인정이 된, 보편적으로 인정이 된 그런 역사를 가르쳐야지 ‘내 생각은 이렇다’고 해서 가르치면 얼마나 학생들이 혼선을 일으키겠느냐”면서 “역사교육은 물론 강화해야 하고 또 바르게 가르쳐야 된다는 것 두 가지가 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개인적인 생각을 말하자면 이것이 어떤 평가 기준이 돼야 (학생들이) 공부를 하지, 평가기준에서 빠져있으면 다른 것 하기도 바빠서 안 하게 되며 그것이 현실”이라며 “이렇게 중요한 과목은 평가기준에 넣어야 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이와 관련, “학생들 입장에서는 이것도 부담이라고 할 수 있어서 학계나 교육계와 의논해 이를 평가에 어떻게 해서든지 반영을 시켜나가되 점진적으로 하든지(해서) 이것을 꼭 소중한 과제로 배울 수 있도록 (하겠다)”며 “수능으로 딱 들어가면 깨끗하게 끝나는 일이지만, 그것은 논의를 해서 평가기준에 들어가도록 그렇게 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의 이런 언급은 한국사를 수능 필수 과목으로 반영해 청소년들의 역사인식을 높여야 한다는 교육계 일각의 주장과도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어떤 식으로든 한국사가 학생들의 성적 평가에 지금보다 더 비중 있게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또 한자교육과 관련해서도 “한자라는 것이 딱 보면 한글로 써져 있는 것보다 글만 봐도 뭔가 직감으로 오는 것이 있다. 그런 것을 놓친다는 것은 상당히 아쉽다”면서도 “컴퓨터니 뭐니 배울 것이 많은 학생들한테 한자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하면 그 부담이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생각도 해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박 대통령은 “이런 것을 어떤 강제로 하기 보다는 얼마든지 EBS나 인터넷을 통해서 쉽게 배울 수 있게끔 마련해줘 그것도 하나의 트렌드가 되면 자연스럽게 한자 사용이 많아지지 않겠느냐”면서 “한자를 많이 쓰는 동북아 지역 국민으로서, 우리 선조들이 그런데 바탕해 학문을 키워온 만큼, 그런 선택도 있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연구해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