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록 열람 내일 개시…열람위원 여야 10인은

대화록 열람 내일 개시…열람위원 여야 10인은

입력 2013-07-15 00:00
업데이트 2013-07-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與 국방·외교통 포진 vs 野 율사·친노 출신 전면배치

2007년 남북정상회담 관련 기록에 대한 정치권의 열람이 15일부터 본격화함에 따라 여야 열람위원 10명의 면면에도 새삼 관심이 모아진다.

일단 열람위원은 새누리당과 민주당에서 각각 5명이 선임됐다. 비교섭단체는 아예 배제됐다.

NLL(북방한계선)을 둘러싼 치열한 ‘해석논쟁’의 최전방에 서게 될 열람위원 선정 과정에는 여야 나름의 ‘정치적 셈법’이 깔려 있다.

우선 새누리당은 황진하 김성찬 김진태 심윤조 조명철 의원 등 주로 국방·외교 분야의 전문가를 포진시켰다.

황 의원은 국회 외교통일위 소속으로 유엔평화유지군 사령관을 지냈으며,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한 김성찬 의원 역시 누구보다 서해 NLL 문제에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와 함께 외교관 출신의 심 의원은 남북회담 기록을 외교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데 힘을 보탤 것으로 예상된다. 또 김진태 의원도 검사 출신으로서 법률적 해석에, 탈북자 출신인 조 의원은 북한 내부 정보에 밝은 편이다.

반면 민주당에선 우윤근 박범계 박남춘 전해철 홍익표 의원 등 5명 가운데 3명이 율사 출신이다.

법률가 출신을 전면 배치함으로써 꼼꼼한 기록 파악을 통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사실상 NLL을 포기했다’는 새누리당의 주장을 깨는 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박범계 전해철 박남춘 의원은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근무 경력이 있어 노 전 대통령을 적극 ‘변호’하는 역할을 맡게될 전망이다.

’귀태 발언’으로 논란의 한 가운데 섰던 홍익표 의원은 정상회담 당시 통일부 정책보좌관으로서 남북회담 전후 과정을 비교적 상세히 알고 있어 노 전 대통령의 ‘진의’를 부각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