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특위 공청회… ‘한국사 수능필수’ 찬반 팽팽

국회특위 공청회… ‘한국사 수능필수’ 찬반 팽팽

입력 2013-07-30 00:00
업데이트 2013-07-30 1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장 효과적 수단” vs “사교육만 증가”

청소년들의 역사인식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사에 대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필수과목 지정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가운데 30일 국회에서 열린 공청회에서는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국회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위원장 남경필)는 이날 국회에서 전문가들을 초청, 이 문제를 놓고 찬반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한국교총의 김동석 정책본부장은 공청회에 앞서 배포한 발제문에서 “대입제도와 연결되지 않으면 실질적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현실을 고려할 때 수능 필수과목화가 한국사 교육을 내실화하는 가장 효율적 수단”이라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한국사를 수능 사회탐구 영역에서 떼어내 별도의 과목으로서 시험을 치르게 하자”면서 “이는 다른 사회과목들의 존립 기반과 무관한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사교육 증가 우려에 대해서는 “국·영·수 과목에 비해 사회탐구 영역은 상대적으로 사교육 수요가 적다는 점에서 지나친 우려”라고 반박했다.

반면 한국사회과교육학회의 박형준 교육과정위원장은 “수능 필수과목이 되는 순간 한국사는 역사적 사실을 단순 암기하는 과목으로 전락한다”면서 “역사적 흥미는 반감되고 제대로 역사를 가르치는 교육은 요원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사교육 부담을 증가시키는 후폭풍도 우려된다”면서 “한국사를 별도의 영역으로 지정하면 한국사의 사교육 부담은 국·영·수와 같은 수준으로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초·중·고교의 한국사 수업은 총 289시간으로 전체 역사 수업(357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면서 “역사교육계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개선하려는 뼈를 깎는 자성과 노력부터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교육부의 박춘란 대학정책관은 “한국사의 수능 필수과목 지정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면서 “사교육 증가문제, 수능체계 개편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