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추석전 국회정상화 잰걸음…난관 여전

여야, 추석전 국회정상화 잰걸음…난관 여전

입력 2013-09-12 00:00
업데이트 2013-09-12 1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대통령-여야 대표 회담 형식·내용이 관건

여야가 12일 뒤늦게 국회 정상화를 위한 노력에 본격 나섰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가 12일 오전 여의도 한 호텔에서 정기국회 의사일정 등 정국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기 앞서 악수하며 웃고 있다.   연합뉴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가 12일 오전 여의도 한 호텔에서 정기국회 의사일정 등 정국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기 앞서 악수하며 웃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통합당이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장외로 나간 지 43일 만에, 정기국회가 개회된 지 열흘이 지난 시점에 여야 원내지도부가 국회 파행 장기화를 막기 위한 공식 접촉을 시작한 것이다.

새누리당 최경환,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와 윤상현·정성호 양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여의도 한 호텔에서 조찬회동을 갖고 정국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다.

양당 원내대표가 겉으로나마 웃으면서 머리를 맞댄 것은 지난 7월13일 이후 약 두 달 만이다.

최근 며칠간 ‘종북세력 숙주’, ‘나치’ 등의 거친 언사를 주고받으며 격하게 대립했던 양당은 이날 회동에서 한목소리로 조속한 국회 정상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민심이 흩어지고 모이는 추석 연휴를 코앞에 두고 여당은 여당대로, 야당은 야당대로 국회 파행에 대한 부담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절충점 모색을 위해 자리를 함께한 것이다.

특히 이날 회동에선 꽉 막힌 정국타개의 돌파구로 거론되는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간 회담 문제가 집중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추석 전에 정국 정상화를 위한 물꼬를 터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면서 “대통령과 정치권의 만남의 형식과 의제에 대해서는 역지사지의 심정으로 절충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전 원내대표 역시 회동 이후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추석 전에 국회가 정상화 되기를 바란다”면서 “국민들의 걱정을 덜어줄 수 있느냐 여부는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 태도에 달렸다”고 말했다.

양당이 이처럼 추석 전 국회 정상화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했지만 각종 현안을 둘러싼 입장차가 워낙 커 난항이 예상된다.

먼저 여권에선 러시아 G20 정상회의와 베트남 국빈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박 대통령의 귀국 보고회 형식으로 ‘대통령-여야 대표 회담’을 모색하고 있지만 야당에선 이에 대해 난색을 표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의 의제는 더욱 골칫거리다. 민주당은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등에 대한 박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지만 청와대나 여당은 민생 이슈로만 국한하려는 기색이 역력하다.

국내파트 폐지를 둘러싸고 여야가 첨예하게 붙어 있는 국정원 개혁 방안, 내란음모 혐의로 구속된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 제명안을 둘러싼 이견 등도 국회 정상화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여야가 추석 전에 어떤 형태로든 국회 정상화에 합의해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국회 파행과 정국 경색은 장기화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