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NLL악재’에 당혹·난감 속 대응책 부심

민주, ‘NLL악재’에 당혹·난감 속 대응책 부심

입력 2013-10-02 00:00
업데이트 2013-10-02 15: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 일각 “文·친노, 결자해지해야”’거리두기’ 분위기도

민주당은 2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검찰의 발표에 “올 것이 왔다”면서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사초(史草) 폐기’ 책임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형 악재가 터져나오면서 기초연금 공약 후퇴 논란과 진영 전 보건복지부 장관 사퇴 파동 등 모처럼 맞은 대여공세의 호기가 일순 파묻혀버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민주당은 검찰의 발표 소식이 전해지자 “정확한 상황을 좀 더 파악해 보겠다”며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유보한 채 대책회의를 갖는 등 대응책 마련을 위해 부심하는 모습이었다.

부산을 방문 중인 김한길 대표도 이날 낮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신중하게 상황을 좀 더 파악해봐야겠다”며 “상황을 알아본 뒤 입장을 밝히는 게 맞을 것 같다”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당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일단 검찰수사가 진행 중인 만큼 정확한 진상이 조속하게 규명되길 바란다는 입장”이라며 “현 단계에서 무슨 이야기를 더 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검찰의 이번 발표가 ‘국면전환용’이라는 불만도 새어나왔다.

민병두 전략홍보본부장은 “수사가 아직 마무리된 것도 아니고 참여정부 인사들이 수사에 협조하겠다고 밝힌 마당에 검찰이 현 시점에서 발표한 것은 국면전환용이라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며 “대화록의 변형, 조작, 유출 의혹에 대한 수사결과는 없는 ‘절반의 수사’라는 점도 정치적 의도를 의심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한 중진의원은 “검찰이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사퇴 문제가 매듭지어지자마자 예상대로 야권과 문재인 의원을 죽이기 위해 서해 NLL(북방한계선) 문제를 들고 나왔다”며 “참으로 무서운 정권”이라고 비판했다.

당 일각에선 문 의원과 친노(친노무현) 진영이 정확한 진상을 밝힘으로써 상황을 정리해줘야 한다며 불만스런 표정도 감지됐다.

한 3선 의원은 “결과적으로 문 의원과 친노가 불 질러놓고 도망간 격 아니냐”며 “문 의원과 친노 쪽에서 결자해지 차원에서 빨리 털고 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 연장선상에서 당 차원에서는 ‘거리두기’ 전략을 구사하려는 기류도 있다.

당 핵심인사는 “당이 너무 깊이 발을 담그면 여권의 페이스에만 말릴 수 있다”며 “이번 문제로 인해 당 전체가 돌을 맞을 수는 없는 것 아니냐. 당으로선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측 입장 등을 일단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