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心 논란’ 서청원… 출마, 왜 지금인가

‘朴心 논란’ 서청원… 출마, 왜 지금인가

입력 2013-10-03 00:00
업데이트 2013-10-03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욕 떨치고 겸허히” 출사표

‘왜 꼭 이번 선거여야 하나.’

서청원 전 한나라당 대표의 10·30 재·보선 출마를 둘러싼 새누리당 내부 논쟁의 핵심은 ‘시점’이다. 서 전 대표와 그의 측근들이 말하는 출마의 변은 “결국 핵심은 명예 회복이고, 다른 정치적 욕심은 없다”로 요약된다. 그러나 그의 출마를 달가워하지 않는 쪽에서는 “정말 그것이 목적이라면, 재·보선 실시 지역이 많아지는 내년 여름에 나와도 되지 않느냐”고 반문하고 있다. 또 “여당으로서 가급적 조용히 치르기를 원하는 재·보선에 정치적 의미를 가미시켜 부담감을 키울 필요가 있느냐”는 생각들을 갖고 있다. 새누리당의 한 초선의원은 2일 “서 전 대표가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 기여하고, 청와대와 야당을 잇는 윤활유 역할을 하겠다고 하는데, 그것은 내년에 국회에 입성한 뒤에도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10·30 재·보선에서 경기 화성 갑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서청원 전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대표가 2일 화성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출마 이유 등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10·30 재·보선에서 경기 화성 갑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서청원 전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대표가 2일 화성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출마 이유 등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내년 6·4 지방선거와 이를 전후해 있을 당 대표 선거에 직접 나서거나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면 이번 재·보선을 통해 반드시 입성해야 한다. 다음 재·보선이 이런 정치 일정이 모두 끝난 뒤인 7월에 열리기 때문이다. 혹시나 내년 5월 19대 국회 하반기 국회의장 선거에 뜻이 있다면 더더욱 이번에 출마해야 한다. 서 전 대표를 견제하는 쪽에서는 그가 이번 재·보선에 출마하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보고 있다.

서 전 대표 측은 이에 대해 “‘정치는 생물’인 까닭에 상황이 언제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 기회가 있을 때 반드시 잡아야 한다고 판단해 이번에 나서는 것일 뿐”이라며 거듭 ‘자리 욕심’이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이번 선거 출마를 결심한 데에는 내년 당권의 향배와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이후 치러지는 재·보선에서 서 전 대표가 국회에 발을 들여놓을 수 있는 길이 차단될 수 있다는 불안감 탓도 없지 않았다. 이와 관련, 그의 한 측근은 “많은 성과를 내야 하는 정부 초반기에 들어와야 도울 것이 훨씬 많지 않겠느냐”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당내 소장파를 비롯한 일각에서는 그의 역할이 이명박 정부에서의 이상득(SD) 의원처럼 될 수도 있을 것이란 점에서 의구심을 보내고 있다. 당의 한 인사는 “당·청 간 공식라인 외에 또 다른 ‘사설라인’이 하나 추가된다면 국정 혼란은 더욱 심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서 전 대표가 국회로 들어와 친박(친박근혜)계의 구심점이 되려 한다면 최경환 원내대표, 김무성 의원 등과 정치적으로 충돌할 가능성도 농후하다. 그러다 자칫 이들의 입지가 좁아질 뿐 아니라 당내 소장파들의 위상마저 약화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당내에서는 벌써부터 권력 구도가 두 갈래로 재편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김 의원 중심으로 모인 의원들은 서 전 대표의 공천을 공개적으로 반대하며 견제전에 한창이다. 장외 설전도 뜨겁게 진행되고 있다. 과거 ‘친이(친이명박)계’와 ‘친박계’의 파워 게임에 이어 서 전 대표 중심의 ‘원박’(원조 친박)과 김 의원 중심으로 재결집한 ‘탈박’이 당권을 둔 대결을 펼칠 것이라는 관측이 조금씩 짙어지는 이유다.

이런 가운데 서 전 대표는 이날 경기 화성시의회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출마 의지를 거듭 피력했다. “모든 영욕을 떨치고 겸허한 마음으로 화성갑 재·보궐 선거에 나왔다”면서 “화성지역의 비전에 대해 큰 기대를 하는 화성시민의 꿈을 이루어 드리겠다”고 밝혔다. 현재 그에 대한 공천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가운데 당은 최종 발표를 미루고 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3-10-03 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