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록 쟁점] ②未이관·삭제이유 논란

[대화록 쟁점] ②未이관·삭제이유 논란

입력 2013-10-03 00:00
업데이트 2013-10-03 1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도적으로 이관안해” vs “수사 통해 규명해야” = 국가기록원에 보내진 ‘이지원’에는 없는 ‘별도의 대화록’이 ‘봉화 이지원’에서 발견된 것에 대해 새누리당은 의도적으로 이관하지 않았을 것이라는데 무게를 둔 반면, 민주당은 여러 가능성을 거론하며 검찰 수사를 통해 밝혀야 한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황진하 의원은 대통령기록관에 대화록이 이관되지 않는 데 대해 “실수일 가능성은 희박하며 의도가 더 많다고 본다”면서 “국정원에 한 부가 있기 때문에 국가기록원에는 안보냈다는 것은 말이 안맞는다”고 지적했다.

서상기의원도 “의도적으로 안넘겨 놓고 넘긴 것처럼 끊임없이 국민을 속인 게 더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대화록과 관련된 관리주체 수십명이 검찰에 소환돼서 조사받을 예정”이라면서 “왜 이관하지 않았는지, 대통령의 뜻은 무엇이었는지 그 점이 규명돼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김영환 의원은 “청와대가 대화록을 기록원에 안 남겼다면 노 전 대통령의 판단과 지시에 따른 것이 아니겠느냐라고 볼 수도 있다”고 나름 분석했다.

◇”불리한 것 고치기 위해 대화록 삭제” vs “최종본 만들어 초본 삭제한 것” = 여야는 봉화 이지원에서 대화록을 삭제한 흔적과 함께 최종본으로 보이는 별도 대화록을 발견한 것을 놓고도 공방을 벌였다.

새누리당 서상기 의원은 “녹음을 듣고 만든 초안을 삭제했다면 그것은 녹음이 좀 불분명한 부분은 좀 유리하게 쓰기 위해서 최종본을 만든 것”이라면서 “틀림없이 불리한 것은 좀 적당하게 고쳐 썼고, 또 녹음상태가 고르지 않은 부분에 대해선 임의로 고쳐썼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그러니까 (이지원에) 삭제 기능이 없다는 것도 거짓말”이라고 몰아세웠다.

이에 대해 민주당 홍영표 의원은 “초안을 만들었다가 나중에 수정해서 최종본으로 결재를 받으면 그것이 유효한 것이기 때문에 초안을 삭제하는 게 상식”이라면서 “대통령기록물을 보관, 관리하는 시스템상으로도 그렇다고 확인했다”고 말했다.

전해철 의원은 국회 브리핑에서 “업무시스템 담당자는 초안은 이관할 필요가 없으니 리스트에서 목록 삭제한 뒤 원본은 그대로 둔 것”이라면서 “이지원 시스템에서 작성자가 삭제하는 것은 안되지만 시스템 관리자가 리스트에서 빼는 것은 가능하다”고 밝혔다.

◇”2008년 수사와 모순” vs “2008년 수사는 제대로 못해” = 검찰이 국가기록원에 있는 이지원에서는 대화록을 찾지 못한 반면에 봉하 이지원에서는 별도의 대화록을 발견한 데 대해 민주당은 지난 2008년 검찰 수사와 모순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홍영표 의원은 “노 전 대통령측이 ‘봉하 이지원’을 반납한 뒤 검찰이 2008년 7월부터 3개월간 수사를 통해 국가기록원에 있는 이지원과 봉하에 있던 이지원 사본이 전혀 다르지 않다고 결론을 내렸다”면서 “이번 검찰 발표는 자신들이 했던 수사결과를 번복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규명돼야 할 것”이라며 특별검사 도입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서상기 의원은 “그 당시에 검찰이 수사를 제대로 못하고 끝냈다”면서 “왜냐하면 노 전 대통령께서 서거하시는 바람에 다 중지가 됐다”고 반박했다.

또 “그때 조사의 초점은 국가기록물을 무단 유출해 갔던 부분이었고, 이번 초점은 대화록의 행방문제”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