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사이버보안위협 방지할 국제규범 만들어야”

朴대통령 “사이버보안위협 방지할 국제규범 만들어야”

입력 2013-10-17 00:00
업데이트 2013-10-17 1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이버스페이스총회 개회식 축사, ‘ITㆍ아이디어ㆍ사이버’ 융합 창조경제 강조

박근혜 대통령은 17일 사이버 공간의 보안 위협과 관련, “사이버 공간의 개방성을 최대한 보장하면서도 이런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국제적 규범과 원칙을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이 17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3 세계사이버스페이스 총회’에 참석,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17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3 세계사이버스페이스 총회’에 참석,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 대통령은 이날 코엑스에서 열린 ‘2013 세계사이버스페이스총회’ 개회식 축사에서 “인터넷 환경이 발달할수록 개인정보 유출과 스팸, 악성코드 유포를 비롯한 사이버 보안에 대한 위협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우리가 직면한 이러한 도전과제들은 어느 한 국가 차원을 넘어 전 세계가 함께 글로벌 협력과 네트워크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라며 “이번 서울총회를 계기로 사이버공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국제협력과 행동을 구체화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끊임없이 성장할 것으로 보이던 사이버 경제 부분도 글로벌 경제위기의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사이버공간을 통해 아이디어와 비즈니스가 창출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합리적 대안들이 적극적으로 제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창조경제와 이를 실현할 온라인 공간인 ‘창조경제타운’을 소개하면서 “저는 IT기술과 창의적 아이디어, 사이버공간을 활용한 창조경제가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벤처창업을 활성화해서 한국경제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 다시 활력을 불러 일으킬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사이버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서 세계적으로 40억명 이상의 인구가 인터넷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디지털 소외’와 ‘격차’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중요한 과제”라며 “국제사회는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실질적 지원정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개도국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통신 인프라 투자와 개발경험 공유를 위한 노력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며 “이미 일부 개도국의 전자정부 시스템 구축을 전폭 지원하고 있는데 앞으로도 한국의 경험과 모범사례를 국제사회와 함께 나누면서 개방되고 안전한 사이버 공간을 만드는데 건설적 기여를 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