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北억류 우리 국민 6명 판문점 통해 인계…“헬기로 이송중”(종합)

[속보]北억류 우리 국민 6명 판문점 통해 인계…“헬기로 이송중”(종합)

입력 2013-10-25 00:00
업데이트 2013-10-25 17: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판문점. / 서울신문 DB
판문점. / 서울신문 DB


통일부는 북한에 억류됐던 우리 국민 6명이 25일 오후 4시 50분쯤 판문점을 통해 우리 측에 인계 완료됐다고 밝혔다.

이날 판문점을 통해 송환된 우리 국민은 각각 김모(44)·송모(27)·윤모(67)·이모(65)·정모(43)·황모씨(56) 등 6명으로 모두 남성이다.

정부는 이들 6명의 귀환을 언론에 공개하지 않고, 헬기 등을 타고 극비리에 이송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기관 합동심문팀은 이들을 상대로 자세한 입북 경위와 북한내 행적 등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자진월북 사실이 밝혀지면 국가보안법 등 관련 법에 따라 처벌할 계획이다.

통일부는 전날 북한으로부터 6명의 생년월일과 직업 등을 통보받은 뒤 출국 및 범죄기록, 가족관계 등을 밤샘 조사해 신원은 모두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가운데 자진월북자가 포함됐을 가능성을 고려해 조사가 끝날 때까지는 구체적인 신원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북한에서 6명이 월북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자진월북 여부는 구체적인 조사를 해야 밝혀지는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개인의 인적사항이나 사진 등을 공개하는 것은 법적인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북한이 2010년 2월 ‘불법입국 협의로 단속해 조사 중’이라고 밝힌 우리 국민 4명이 6명 가운데 포함돼 있을 것으로 일단 추정하고 있다.

북한이 송환을 통보할 때까지 6명의 입북 경위조차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은 두고두고 논란이 될 전망이다. 2010년 2월 북한 억류 사실이 확인된 4명에 대해 신원 확인을 요청하기도 했지만 북측이 답을 하지 않자 2011년 부터는 아예 손을 뗐다.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이 걸린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3년이 다 돼가도록 무관심으로 일관해왔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김 대변인은 “우리 국민에 대해 관심을 갖고는 있지만 북측의 협조가 보장되지 않은 상황에서 더 이상 (인적사항 확인을) 진행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북한은 2010년 2월 26일 불법입국 혐의로 남조선 주민 4명을 단속해 조사중이라고 밝힌 바 있어 6명 중에 이들 4명이 포함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2010년 1월 초에 30∼40대 한국인으로 추정되는 남성 1명이 중국 옌볜자치주 투먼시 인근 두만강을 통해 월북했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어 이 남성이 포함됐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부는 관계기관과 함께 구체적 입북경위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