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사건 처리가 신임·반발 분기점

국정원 사건 처리가 신임·반발 분기점

입력 2013-10-28 00:00
업데이트 2013-10-28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부 장악력 있어 조직 잘 추스를 것” vs “예상된 결과… 檢, 권력에 휘둘릴 것”

김진태 전 대검찰청 차장이 27일 차기 검찰총장 후보자로 낙점되자 검찰 내부에서는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교차했다. 그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검찰총장에 취임한다면 국가정보원 대선·정치 개입 사건을 어떤 식으로 처리하느냐가 검찰 내 신임과 반발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검찰 내부에서는 “예상된 결과다. 검찰이 권력에 휘둘릴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와 “지난해 한상대 전 검찰총장 퇴진 후에 총장 대행을 맡아 조직을 잘 추슬렀다”며 기대하는 목소리가 극명하게 갈렸다. 그만큼 현재 검찰 조직 내부의 갈등이 심각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검찰 간부 A씨는 “경험이나 실력에 비춰 봤을 때 적합하다는 말도 있지만 채동욱 전 총장이 지명됐을 때보다는 내부 분위기가 어두운 건 사실”이라며 “검찰의 가장 큰 문제가 수사와 관련한 정치적 독립인데 이게 지켜지지 않을 것 같아 걱정된다”고 토로했다. B씨는 “청와대가 김 전 차장을 총장에 지명한 명분은 ‘공안통’이 아니라는 것 하나뿐”이라며 “검찰 내 신망이 높은 사람들을 총장 후보 들러리로 내세웠다”고 비판했다.

특히 김 전 차장이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 같은 부산·경남(PK) 출신이라는 점에 대한 우려가 두드러졌다. C씨는 “김 비서실장과 김 전 차장이 막역한 관계라는 건 주지의 사실”이라며 “김 전 차장이 청와대가 검찰을 통제하는 통로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내분으로 위기에 몰렸던 검찰의 ‘구원투수’ 역할을 할 것이라는 반응도 나왔다. D씨는 “조직장악력이 있는 만큼 내부 분위기를 추스를 수 있는 적임자”라고 말했다. E씨는 “지난해 검찰총장 직무를 수행하면서 검찰 내부의 위기를 잘 추슬렀다”면서 “내부 갈등을 잘 봉합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검찰 안팎에서는 “김 후보자가 차기 검찰총장이 된다면 국정원 대선·정치 개입 사건 처리가 총장 신임을 묻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F씨는 “김 전 차장의 최대 당면 과제는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 처리가 될 것”이라며 “그걸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김 전 차장을 믿고 함께 가거나 아니면 반발 여론이 확산되며 검찰이 또다시 내분에 휩싸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3-10-28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