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시정연설’ 대처법 두고 갑론을박

민주, ‘시정연설’ 대처법 두고 갑론을박

입력 2013-11-13 00:00
업데이트 2013-11-13 16: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참석 방침 속, 항의 방법 아이디어 ‘봇물’

지난 8일 이후 두 차례 국회 의사일정에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불참해온 민주당은 13일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인사청문회 종료 이후의 정국대응방안을 놓고 머리를 맞댔다.

특히 의원들은 이 자리에서 오는 18일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의 집권 첫해 국회 시정연설에 어떻게 대처할지를 두고 백가쟁명식 의견을 쏟아냈다.

의총 초반부터 대통령 시정연설에 참석할지를 두고 입장이 엇갈렸다.

애초 지도부는 “보이콧은 없다”고 공언해 왔지만, 한 초선 의원은 “우리가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의혹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상황에서 어떻게 (아무 일 없다는 듯이) 시정연설을 듣겠는가”라며 불참을 공개 제안했다.

그러나 중진의원들을 중심으로는 “기본 예의를 지켜야 한다”는 의견이 대세를 이뤄, 결국 의원들은 시정연설을 위한 본회의에서 참석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그러자 이번에는 “그냥 평범하게 대통령을 맞이할 수는 없지 않느냐”는 의견이 나왔다.

의원들은 과거 시정연설과 비교하며 “대통령 입장 때 자리에서 일어날 필요가 없다”, “일절 박수를 치지 말아야 한다” 등의 의견을 내놨다.

한 의원은 연설 당일 상복을 뜻하는 검은 양복이나 검은색 넥타이, 스카프, 리본 등을 착용하자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결국 어떻게든 ‘항의의 메시지’를 표시해야 한다는 점에는 대부분 의원이 공감했다.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선 전병헌 원내대표가 “여러 의견을 고려해서 (결정)하겠다”며 논란을 매듭지었다.

이날 의총에서는 최근 지도부의 현안 대응전략이 효과적이지 못했다는 성토가 이어지기도 했다.

한 3선 의원은 “특검과 예산안을 연계하는 방식은 국민의 지지를 받기 어렵다. 국민의 눈높이에서 정치를 해야 한다”고 꼬집었고, 다른 초선의원도 “공격 포인트를 명확히 하자. 민생을 챙겨야 한다”고 맞장구를 쳤다.

특히 한 의원은 최근 당 지도부가 두 차례 국회의사일정을 보이콧한 것에 대해 “보이콧 기간에 뭘 남겼는가. 전략이 전혀 없다”고 문제 삼았다.

결국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의사수렴 과정 없이 국회 의사일정 보이콧을 결정한 것에 대해 사과하고 불가피했던 사정을 설명했다고 정호준 원내대변인은 전했다.

투쟁 수위를 둘러싼 온도차도 드러났다.

한 비례대표 의원은 “의원직을 걸 만큼의 의지를 보여야 한다”며 수위를 높이자는 주장을 폈다. 그러나 다른 초선의원은 “분노를 여과없이 표현하기보다는 절제해야 한다”고 맞섰다.

감사원장·복지부장관·검찰총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후속조치에 대해서도 의견이 맞섰다.

당초 일부 의원들은 “결정적인 한 방이 드러나지 않았다”며 ‘임명동의 반대’에 소극적 입장이었지만, 의총에선 “쉽게 동의해 줘서는 안 된다”는 강경론이 잇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