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연말까지 경제ㆍ민생일정 ‘빼곡’

朴대통령, 연말까지 경제ㆍ민생일정 ‘빼곡’

입력 2013-12-12 00:00
업데이트 2013-12-12 1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선승리 1주년 앞두고 ‘경기회복 체감저조’ 우려도 작용한듯

박근혜 대통령이 연일 민생ㆍ경제 행보에 나서고 있다. 취임 이후 집중적으로 이뤄진 외교ㆍ안보 행보보다는 이제는 경제활성화나 일자리 창출에 훨씬 더 무게를 두는 모양새다.

박 대통령은 12일 오전 코엑스에서 열린 창조경제박람회 개막식에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치사를 통해 “이번 박람회를 통해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조경제 본격 도약의 시대를 열어가 달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주만 해도 일·가정 양립 실천대회(9일), 우리 수산물 시식회(10일), 농축수산인 오찬간담회(11일) 등에 참석해 가족친화적 경영과 우리 수산물에 대한 소비촉진 필요성을 강조하고,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농축수산인들의 우려에 대한 정부의 대비 의지를 설명했다.

지난주에도 경북도 업무보고 청취 및 경주 석굴암 방문, 대한민국 벤처·창업 박람회 개막식 참석, 무역의 날 기념식 참석 등 경제ㆍ민생 행보가 이어졌다.

이런 행보는 연말까지도 계속될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이는 박 대통령이 강조해온 ‘정치는 국회, 청와대는 국정’이라는 기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여의도 상공에 천둥번개가 아무리 쳐도, 청와대는 언제 그랬느냐는 듯 국민의 안위와 평화를 위해 일을 해야 한다”는 청와대 관계자의 말도 같은 맥락이다.

정치적 갈등으로 원만한 운영이 이뤄지지 못해 내년도 예산안 심사나 민생ㆍ경제법안 통과가 지연되고 있는 국회에 대한 ‘우회적 압박’ 의미도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의 최근 행보는 오는 19일로 대선 승리 1주년이 된다는 점도 감안한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국민 행복’을 기치로 내걸고 1년 전 대선에서 승리했지만, 여전히 국민이 느끼는 ‘행복지수’는 크지 않다는 게 대체적 평가이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 스스로도 이런 점을 인식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9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거시경제 지표가 나아지고 있다는 통계가 계속 나오지만 국민이 실생활에서는 그것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최근 한 달간 박 대통령의 일정에서 일자리 창출이나 경제활성화와 관련된 행사가 많았던 것도 이런 점을 감안한게 아니냐는 것이다.

다만 일자리 창출이나 경제활성화는 국회에 제출된 관련 법안이나 내년도 예산안이 제대로 처리돼야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청와대가 야권과의 갈등의 중심에 서는 듯한 모습이 이어진다면 대통령의 경제ㆍ민생 행보가 소기의 성과를 얻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실제 한국갤럽이 지난 2~5일 전국 성인 1천2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긍정과 부정평가가 각각 53%와 34%인 가운데, 대통령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로 ‘정치 안정ㆍ개혁’(11%)이 ‘일자리창출ㆍ실업문제’(10%)와 ‘경기회복ㆍ경제활성화’(9%)를 제치고 맨 앞자리를 차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