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권, 혁신위 토론 사안 아냐”

“공천권, 혁신위 토론 사안 아냐”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15-07-06 23:54
업데이트 2015-07-07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상곤 새정치 혁신위원장 밝혀

김상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장이 6일 내년 총선을 앞두고 ‘현역 물갈이’ 작업을 맡게 될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구성 권한을 혁신위에 위임해 달라는 일부 혁신위원의 주장에 대해 “(혁신위) 내부에서 토론될 사안이 아니다”며 개인의견으로 일축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혁신위가 마련한 ‘당의 정체성 확립 및 정당강화 방안 마련 토론회’에 참석한 뒤 기자들이 “혁신위에서 논의가 전혀 안 된 사안인가”라고 묻자 이렇게 밝혔다. 그는 또 앞으로 검토 여부에 대해서도 “아니다. 그건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토론회에서 혁신위 대변인인 임미애 위원은 토론자로 나서 “1차 혁신안으로 제출한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에 대해서도 여러 방면에서 논의하겠지만 어느 계파에도 휘둘리지 않고 가장 공정하고 안전하게 이 일을 추진할 수 있는 것이 혁신위가 아닐까 생각한다”면서 “그런 측면에서 혁신위가 맡아서 할 수 있도록 당 지도부가 지원해주는 게 옳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김 위원장의 즉각적인 대응은 비노(비노무현) 진영의 의심 어린 시선을 불식시키려는 노력으로 보인다.

그동안 비노 의원들은 혁신위를 친노(친노무현) 성향의 운동권으로 규정, 공천을 앞두고 자신들에게 칼날을 휘두를지 모른다고 주장해왔다. 또한 ‘친노-비노’ 계파 갈등에 혁신위가 휩쓸릴 경우 앞으로 내놓을 혁신안에 진정성이 실리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반영된 듯하다.

한편 토론회에서는 당의 정체성과 향후 전략에 대한 쓴소리가 터져 나왔다.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는 “진보의 이미지가 굉장히 부정적, 싸가지 없음, 무책임과 같은 것들인데 이에 대한 충분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저소득층·노인층을 그동안 방치하고 아무 신경을 안 썼지만 이제는 그들에게 접근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고원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도 “87년 체제에서 파생한 낡은 진보에서 변화해야 한다. 소통 대 불통, 참여 대 배제 등 새로운 가치구조로 혁신의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5-07-07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