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에 명운 걸린 文, 이틀째 호남행…“사즉생 각오”

총선에 명운 걸린 文, 이틀째 호남행…“사즉생 각오”

입력 2016-04-12 12:02
업데이트 2016-04-12 1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스팔트 ‘큰절’ 텃밭민심 달래기…국민의당엔 연일 맹공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12일 전남 순천과 광주, 전북 등을 돌며 마지막으로 텃밭 민심 달래기에 몰두했다.

문 전 대표로서는 호남 선거 결과에 정치적 명운이 걸린 만큼, 사즉생의 각오로 선거에 임하겠다며 길바닥에 큰 절을 하는 등 절박한 심정을 강조했다.

현장에서는 수많은 지지자들이 환호를 보내고 문 전 대표도 다소 자신감을 찾은 듯한 모습이었지만, 이번 방문이 불리한 호남 판세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는 의견이 갈린다.

전날 여수에서 하룻 밤을 지낸 문 전 대표는 이날 오전 순천 아랫장에서 열린 노관규(순천) 후보의 지원유세에 참석했다.

문 전 대표는 도착 직후 아스팔트 바닥에 절을 했다. 노 후보 측은 “사죄의 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광주 남구로 이동해서는 ‘광주시민, 전남북 도민들께 드리는 글’을 발표했다.

문 전 대표는 “며칠 전 광주를 찾았을 때 따뜻이 맞아주셨지만, 깊어진 상처를 달래드리기엔 턱없이 부족했다”며 ‘반드시 대통합해 정권교체를 해달라’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생전 발언을 언급, “대통합을 이루지 못했고 정권교체를 해내지 못해 죄가 크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어 “이번 총선에 제 모든 걸 걸었다. 다시는 정권을 빼앗기지 않겠다고 사즉생 각오로 아뢴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을 향해서는 날선 공세를 멈추지 않았다.

그는 발표문에서 “사표는 안 된다. 어부지리는 안 된다. 갈라지는 표는 새누리 것”이라며 “정권교체까지 내다보고 전국적으로 새누리 독주에 맞설 당으로 표를 몰아달라”고 당부했다.

문 전 대표는 노 후보 지원유세에서도 “국민의당에 던지는 표는 여당의 장기집권을 도와 국민을 불행케 하는 표”라고 했다.

이처럼 문 전 대표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데에는 ‘반문(反文) 정서’가 누그러지고 호남의 밑바닥 민심을 회복했다는 자신감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날 유세에는 지지자 100여명이 ‘대통령! 문재인’ 등의 구호를 외치는 등 떠들썩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광주 남구 오월 어머니집에서 진행한 ‘어머니들과의 대화’에는 광주 후보자 8명이 모두 모였다. 8~9일 첫 방문 때만해도 문 전 대표의 방문을 꺼리는 후보들이 많았던 것에 비해 큰 변화다.

문 전 대표 역시 이런 기류변화를 의식한 듯 “호남이 지지하지 않으면 정치를 그만두겠다고 했지만, 반대로 힘을 주시면 정말 새롭게 출발해서 열심히 잘해보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같은 모양새가 사죄의 진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문 전 대표와 가까운 한 인사는 “자칫 반성하는 모습이 희석될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표의 방문이 호남 판세에 영향을 줄지도 의견이 갈린다.

문 전 대표는 오월 어머니집 방문 후 기자들과 만나 “(의석) 숫자를 말씀드릴 상황은 아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몸을 낮추고 겸허히 결과를 기다리겠다”면서도 “바닥 민심은 많이 달라지고 있다고 느낀다. 어떤 형태로든 표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홍걸 국민통합위원장은 CBS라디오에서 “호남 민심이 다시 우리 당으로 오고 있다”고 했다.

반면 정장선 총선기획단장은 YTN라디오에서 “문 전 대표의 방문에는 긍정적 시각이 많지만, 표로 연결될지는 확인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이태규 전략홍보본부장은 YTN라디오에서 “선거에 대한 영향보다는, 선거 이후 지지층 결집의 목적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