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김홍걸과 동행…정치활동 재개 명분 쌓기?

문재인 김홍걸과 동행…정치활동 재개 명분 쌓기?

이슬기 기자
입력 2016-04-19 20:50
업데이트 2016-04-19 2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묘역 참배하는 문재인과 김홍걸
묘역 참배하는 문재인과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김대중 전 대통령 삼남 김홍걸 당 국민통합위원장이 19일 오후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2016.4.19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전날 전남 신안군 하의도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생가를 방문한 데 이어 19일에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소가 있는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방문했다.

문 전 대표가 이처럼 1박2일간 영호남을 잇따라 방문하면서 4·13 총선 과정에서 빚어진 ‘정계은퇴 논란’에서 벗어나 정치활동을 재개하기 위한 명분쌓기라는 해석을 낳고 있다.

문 전 대표는 지난 8일 광주를 찾아 “호남이 지지를 거두면 정치일선에서 물러나겠다”며 배수진을 쳤지만 ‘호남 선거 참패’라는 결과가 나오자 이 발언이 족쇄로 작용하면서 어떤 식으로든 응답해야할 상황에 처했다.

김 전 대통령의 3남 김홍걸 당 국민통합위원장이 줄곧 동행한 이번 방문에서 문 전 대표는 가는 곳마다 두 전직 대통령을 내세워 ‘김대중과 노무현 지지세력’의 협력, 호남과 영남의 화해 메시지를 부각하는데 주력하는 모습이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오후 김 위원장과 함께 봉하마을의 노 전 대통령 묘소를 찾아 참배하고 권양숙 여사를 예방한 자리에서도 김 전 대통령과 노 전 대통령의 동질성을 강조했다.

두 사람은 노 전 대통령의 서거 직후 김 전 대통령이 “내 몸의 절반이 무너진 것 같은 심정이다”라고 밝힌 것을 이희호 여사 친필로 옮겨 놓은 바닥돌을 유심히 바라봤다.

문 전 대표는 앞서 전날 하의도 주민과 오찬에서 “김 전 대통령은 야당에게 민주주의의 뿌리”라고 말하고, 김 전 대통령 생가에서는 이명박정부 시절 두 전직 대통령이 민주주의 파탄 등에 대한 일종의 시국선언을 같이 준비하려 했다는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문 전 대표 측은 이번 방문을 ‘영호남 통합 일정’이라고 규정한 뒤 “두 전직 대통령의 탄생과 죽음을 잇는 순례를 통해 두 사람은 호남과 비호남, 김대중과 노무현 세력이 절대 갈라지지 말고 하나로 뭉치는 일에 함께 힘을 쏟자는 것에 공감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문 전 대표 측은 ‘정계은퇴’ 발언 논란에서 벗어나길 기대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문 전 대표는 향후 호남과의 접촉면을 꾸준히 넓혀갈 계획이어서 이번 일정을 계기로 사실상 대선을 향한 정치활동을 재개했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문 전 대표가 “앞으로 더 열심히 하겠다. 저희가 정치를 더 잘해서 꼭 갚아드리도록 하겠다”(하의도 주민과 오찬), “책임있는 자세로 하겠다”(팽목항 실종자 가족과 대화)고 발언한 것 역시 정치활동 재개를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문 전 대표 측은 “문 전 대표는 총선 때 호남 방문에서 약속한대로 평당원의 한 사람으로서 격의없이 수시로 호남을 찾아 호남민심에 귀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