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통령, 재임중 선거 참패후 대응 어떻게 했나

역대 대통령, 재임중 선거 참패후 대응 어떻게 했나

입력 2016-04-19 18:00
업데이트 2016-04-19 1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黨총재때 노태우, 두 차례 총선패배, 3당합당 등 국면전환

DJ “민의” 언급후 ‘자민련 의원 꿔주기’로 인위적 정계개편 논란도

노태우 전 대통령 임기 초인 1988년 4월26일 진행된 13대 총선에서도 여당은 참패했다. 여당인 민정당이 125석을 확보, 과반에 크게 못미치면서 국회 권력은 야당으로 넘어갔다.

이에 따라 국회에서 정기승 대법원장 임명동의안 표결이 부결되는 등 국정 운영에 어려움이 조성되자 노태우 전 대통령은 민정당과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 등을 합치는 이른바 3당 합당이라는 정계 개편 카드로 여소야대 정국을 뒤집었다.

◇지방선거 참패 결과엔 ‘거리두기’ = 역대 대통령들은 전국단위 선거인 지방선거 패배에 대해선 대체로 ‘거리 두기’를 했다. 하지만, 선거 패배 이후 국정쇄신론이 끊임없이 제기되자 선거 1∼2달 뒤 인적 쇄신을 단행하는 사례도 이어졌다.

2001년 10월 재보선 패배후 총재직 사퇴, 2002년 5월 민주당 탈당까지 결행한 김대중 전 대통령은 같은 해 6월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패배했으나 선거 직후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청와대도 민주당 내에서 청와대 책임론이 거론되는 것에 대해 “국정에만 전념할 뿐 정치와는 상관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영삼 전 대통령도 1995년 6월 치러진 제1회 지방선거에서 여당인 민자당이 진 것에 대해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대신 김 전 대통령은 선거 다음 날 열린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여당이 선거법을 철저히 지킴으로써 과거와 같은 관권, 금품 선거 시비가 없어진 것은 선거 혁명의 기틀을 마련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노무현, 지방선거 패배하자 “한두번 선거로…” 언급했다 논란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6년 5.31 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이 참패하자 6월 1일 “민심의 흐름으로 받아들인다”는 첫 반응을 내놓았다.

하지만, 6월 2일 각 부처 정책홍보관 토론회에서 “한두번 선거로 나라가 잘 되고 못되는, 어느 당이 흥하고 망하고 그런 것이 민주주의는 아니다”고 발언한 것이 알려지면서 정치적 논란이 거세게 일자 5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여당이 선거에서 졌는데 대통령이 책임이 없다고 하는 게 말이 되느냐”며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지방선거 패배의 책임을 놓고 당청간 논란이 가열됐고, 노 전 대통령은 7월 3일 경제·교육부총리, 기획예산처 장관, 청와대 정책실장을 교체하는 부분 개각 및 청와대 개편에 나섰다.

◇MB, 지방선거 참패후 미온적 반응했다 역풍 =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2010년 6·2 지방선거 당시 한나라당이 참패하자 선거 다음날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지방선거 이후 정부는 다시 경제회복과 지속 성장에 집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만 언급했다.

그러나, 당내에서 국정쇄신론이 거세게 제기됐고, 이 전 대통령은 14일 TV로 생중계된 정례 라디오 연설에서 “민심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 앞으로도 국민이 원하는 변화의 목소리를 더 귀담아 듣겠다”며 청와대 및 내각 개편 구상을 밝혔다.

이 전 대통령은 7월 13일, 15일 두 차례에 걸쳐 대통령실장, 정책실장, 정무수석, 대변인을 교체했고, 8월 8일에는 국무총리와 장관급 9명을 교체하는 대규모 개각을 단행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