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 핵실험한다는 北 주민 41%가 영양실조”

“5차 핵실험한다는 北 주민 41%가 영양실조”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6-04-21 11:10
업데이트 2016-04-21 1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엔 “지난해 총 곡물생산량 전년보다 11%감소”

 북한이 다음달 초 7차 노동당 대회를 앞두고 5차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지난해 총 곡물 생산량이 전년보다 대폭 줄어들어 정작 주민들의 41%는 영양실조로 시달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유엔은 20일 ‘대북 인도주의 필요와 우선순위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지난해 곡물 생산량이 전년보다 11% 줄어든 506만t(도정 전 기준)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2년간 계속된 가뭄 탓으로, 일부 지역의 경우 전년보다 절반가량 줄어든 곳도 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21일 설명했다. 곡물 생산량이 줄면서 북한 당국의 식량 배급량도 감소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지난 1∼3월 주민 1명당 식량을 하루 370g 배급했다. 이는 유엔의 최소 권장량인 600g은 물론, 북한 당국의 목표치인 573g에도 못 미치는 양이다.

이에 따라 많은 주민들이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다는 평가다. 2014년부터 올해까지 북한 주민의 영양실조 비율은 41.6%로 2005∼2007년 35.5%에 비해 6.1%포인트 증가했다.

 유엔은 이에따라 올해 대북사업 예산으로 1억 2100만 달러(약 1360억원)를 책정했다. 항목별로 영양 사업에 5470만 달러(약 619억원), 보건 2980만 달러(337억원), 식량 안보(비료, 농기구 등 지원) 2320만 달러(263억원), 식수 위생 사업에 1390만 달러(157억원)가 투입될 예정이다.

 유엔은 북한이 최근 몇년간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등의 도발을 감행함에 따라 국제사회의 제재로 대북지원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기부자들의 지원도 감소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 2004년 국제사회의 대북지원은 3억 달러(3398억원)이었으나 지난해에는 4000만 달러(453억원)로 87%가량 감소했다.

 유엔은 “인도주의 지원은 정치 상황과 무관해야 한다”며 “여성과 어린이, 노인 등 북한 내 취약계층이 최소한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