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임시공휴일 보니…박정희 정부 ‘5·16 혁명 기념일’ 지정

역대 임시공휴일 보니…박정희 정부 ‘5·16 혁명 기념일’ 지정

이슬기 기자
입력 2016-04-26 18:23
업데이트 2016-04-26 18: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정희 전 대통령과 영부인 육영수 여사.  국가기록원 제공
박정희 전 대통령과 영부인 육영수 여사.
국가기록원 제공
정부가 5월 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역대 임시공휴일 사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26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5월6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임시공휴일은 정부수립 이후 58번째다.

첫 번째 임시공휴일은 1962년 4월19일이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군사정부는 5·16 군사 쿠데타 이듬해인 1962년 4·19 혁명 기념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했다.

군사정부는 또 5월16일을 ‘5·16 혁명 기념일’이라는 이름으로 임시공휴일로 지정했다.

정부는 1969년 7월21일 아폴로 11호 달착륙 기념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도 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인 육영수 여사의 국장일인 1974년 8월19일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국장일인 1979년 11월3일도 임시공휴일이었다.

민주화운동의 산물로 탄생한 1987년 10월27일 헌법 개정 국민투표일도 임시공휴일이었다.

정부는 또 지난 1988년 9월17일 서울올림픽 개막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했다.

한일 월드컵 폐막 다음 날인 2002년 7월1일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 축구대표팀의 ‘4강 신화’를 축하했다.

지난해에는 광복70주년을 기념하고 국내 관광 산업을 지원해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취지에서 8월14일을 임시공휴일로 결정했다.

대통령 선거일, 국회의원 선거일, 전국동시지방 선거일 등 각종 선거일의 경우 2009년 6월까지는 임시공휴일로 분류됐지만, 2009년 6월 이후 관련 규정을 개정하면서 임시공휴일이 아닌 일반 공휴일로 바뀌었다.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마지막 선거일은 2006년 5월31일 전국동시 지방선거일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