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내홍 폭발…친박 “비대위 편파” vs 비박 “양아치 정당”

與 내홍 폭발…친박 “비대위 편파” vs 비박 “양아치 정당”

입력 2016-05-17 17:01
업데이트 2016-05-17 17: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대위·혁신위 출범 불발에 계파 갈등 폭발 ‘후폭풍’

지도부 공백 이어져 당 정상화 장기표류 가능성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와 혁신위 출범이 무산되면서 17일 당내에선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간 내재됐던 불만이 폭발했다.

정진석 원내대표가 혁신위원장으로 비박계 김용태 의원을, 비대위원으로 김세연 김영우 의원, 이혜훈 당선인 등을 내정하자 친박계가 거세게 반발하면서 고조됐던 갈등이 결국 표출된 것이다.

친박계의 암묵적인 보이콧 속에 이날 오후 예정됐던 상임전국위와 전국위 개최가 의결정족수 부족으로 무산되자 양 계파는 서로 상대방에 책임을 돌리며 공방의 불을 뿜었다.

친박계는 비대위를 강성 비박계로 인선한 정 원내대표의 책임론을 주장하며 중립적으로 다시 인선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비박계는 계파주의에 매몰돼 혁신 기회를 놓쳤다며 친박계를 비판했다.

이렇게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4·13 총선 직후 최고위원 일괄 사퇴에 따라 한 달 넘게 이어진 지도부 공백 사태가 계속되며 당은 장기 표류할 가능성이 커졌다.

비박계 정두언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정당이 아니라 패거리 집단이다. 동네 양아치도 이런 식으로는 하지 않는다”면서 “국민이 볼 때 새누리당은 보수당이 아니라 독재당”이라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이런 패거리 집단에 내가 있어야 하나 심각하게 고민해야겠다”고도 했다.

비대위원으로 내정됐던 이혜훈 당선인은 기자들과 만나 “(친박계가) 어제 기자회견을 하면서 ‘우리가 누구를 밀었는데 왜 한 자리도 안주느냐’고 하지 않았느냐”면서 “계파 갈등이 여기서 멈추지 않으면 국민 앞에 다시 기회를 얻을 수 있을까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한 친박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총선 패배의 원인이 김무성 유승민에게도 있는데 그 틀 안에 있던 사람들이 비대위에 들어가서 무엇을 논의하겠느냐”면서 “그 게 잘못됐다고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계에서는 비대위가 강성 비박계 일색인 데다 홍문표 사무총장대행은 지난 총선에서 공천관리위원으로서 패배의 책임이 있는 데도 다시 비대위로 들어갔다며 반발하고 있다.

또 다른 친박계 의원은 “비대위를 구성할 때 중립지대 인사들을 골고루 넣어야 한다”면서 “혁신은 차기 전당대회에서 선출되는 당 대표에 맡기고, 비대위는 관리형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