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태영호 귀순, 北체제 결속 금가는 계기”

통일부 “태영호 귀순, 北체제 결속 금가는 계기”

입력 2016-08-18 11:46
업데이트 2016-08-18 1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탈북유형 다양화…더 나은 삶 위한 ‘이민형 탈북’도”

통일부는 18일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의 태영호(55) 공사의 최근 귀순에 대해 “김정은 체제 내부 결속에 금이 가게 되는 계기 중의 하나가 되지 않겠나 평가해본다”고 말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태 공사가 외부 정부를 많이 접할 수 있고 바깥 세상에 노출되다 보니 (북한) 체제와 밖의 세상, 남북을 비교할 눈이 생겼을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김정은 체제에 희망이 없고 한계 극복이 어렵다고 느끼면서 귀순을 결심한 것으로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태 공사가 탈북 동기에 대해 김정은 체제에 대한 염증,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동경, 자녀와 장래 문제 등을 언급한 것으로 전해진 바 있다.

이 당국자는 태 공사의 구체적인 탈북 유형은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전반적인) 탈북 동기가 다양화되는 것은 틀림없다. 1990년대 이전에는 정치적 이유나 개인 신상의 문제로 불가피하게 탈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있었다면 고난의 행군을 거치며 경제적 동기가 많아졌고 지금은 한류나 생활 여건, 삶의 질을 생각하는 측면이 있어서 ‘이민형 탈북’ 식의 더 나은 삶을 위한 탈북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당국자는 북한 원자력연구원이 교도통신과 서면 인터뷰에서 핵무기 원료로 쓸 플루토늄을 생산하고 농축우라늄을 생산하고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는 “자기들의 능력을 다시 과시하려는 굳히기 의도와 이를 관련국에 알려 관심을 끌어보려는 측면, 그것을 통해 제재 무용론에 힘을 실으려는 측면이 고려된 게 아닌가 싶다”고 분석했다.

이어 외무성 등이 아닌 ‘원자력연구원’이 나선 점에 대해서는 “지난해 9월 비슷한 현상이 있었다. 우주개발국장 등의 언급 이후 핵실험, 미사일 발사가 이어졌다”면서 “(당시) 실무선에서는 충분히 준비되고 있었다고 판단해볼 수 있다. 이번 경우도 소홀히 여기면 안되고 주시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