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갈등 요인, 의원은 “빈부 격차” 53% 국민은 “빈부 격차” 28% “정쟁 탓” 25%

사회갈등 요인, 의원은 “빈부 격차” 53% 국민은 “빈부 격차” 28% “정쟁 탓” 25%

입력 2016-09-05 22:54
업데이트 2016-09-05 2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대 국회의원 의식조사

우리 사회의 갈등 요인으로 국민들은 ‘경제적 빈부 격차 확대’(28.6%) 못지않게 ‘여야의 정쟁 격화’(25.4%)를 꼽고 있으나 20대 국회의원들은 ‘경제적 빈부 격차 확대’(53.3%)를 지배적 갈등 요인으로 보는 반면 ‘여야의 정쟁 격화’(14.8%)는 별다른 요인으로 보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민 통합을 저해하는 사회 갈등 요인에 있어서는 국민들에 비해 정치권이 자신들의 책무를 덜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결과로 풀이된다.

일반 국민과 국회의원의 이 같은 인식 차는 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국민대통합위원회 주최 ‘국민통합을 위한 20대 국회의 역할과 과제 모색’ 토론회에서 발표된 20대 국회의원 의식조사를 통해 나타났다.

서강대 산학협력단(단장 이현우 정치외교학과 교수)이 20대 국회의원 188명(전체의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78.1%는 ‘국민통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답했고 9.1%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답해 부정적 응답이 87.2%를 차지했다.

국민통합이 나아질 것이라고 보는지에 대해서도 국회의원은 45.2%가 낙관한 반면 국민들은 25.4%만이 나아질 것이라고 답해 온도 차를 보였다.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이현우 서강대 교수는 “의원 스스로가 국민통합을 국가적 과제로 인식해 국회가 주도권을 가지고 사회갈등의 해결 주체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6-09-06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