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 영수회담 회군’에 야권공조 재시동…다시 스크럼 짜나

‘秋 영수회담 회군’에 야권공조 재시동…다시 스크럼 짜나

입력 2016-11-15 12:29
업데이트 2016-11-15 12: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의 ‘청와대 영수회담 회군’으로 자칫 와해 위기에 몰렸던 야권공조가 다시 탄력 받을지 주목된다.

추 대표의 전격적인 영수회담 추진에 국민의당과 정의당이 강력히 반발하며 야권공조 파기의 경고음까지 울렸지만, 거센 민주당내 반발에 밀려 불과 12시간 만에 없던 일이 되자 일단 ‘해프닝’으로 넘어가는 분위기다.

또 이번 일을 계기로 민주당도 박근혜 대통령 퇴진 추진으로 당론을 정하게 되면서 다른 야당과 단일대오를 형성하게 돼 야권공조에서 오히려 ‘전화위복’이 됐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국민의당과 정의당은 15일 추 대표의 전날 영수회담 취소 결정을 환영하며 야권공조 의지를 다졌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당내에선 흔들릴 수 있지만 우리는 긍정적으로 본다”며 “취소한 것도 용기이고, 특히 민주당이 당론을 결정 못 하고 우왕좌왕하다가 박 대통령 퇴진으로 당론을 정한 것은 전화위복으로 잘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도 비상대책회의에서 “추 대표가 나쁜 의도로 단독회담을 추진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온몸으로 체감한 촛불민심을 대통령에게 전달해야 한다는 사명감이 너무 커서 일어난 일”이라며 “이제 야 3당은 단일한 정국수습안을 마련하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 대표도 이번 영수회담 추진과 관련해 유감을 표하며 야 3당과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비상시국기구 구성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야 3당 대표들은 이날 중 회동을 추진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는 야 3당 대표와 박 대통령 간의 공동 영수회담 제안 등 앞으로 박 대통령 퇴진을 관철하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구체적인 공조 전망을 점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질서있는 퇴진’을 놓고 큰 틀에 이견이 없지만, 각론으로 들어가면 대통령의 2선 후퇴에 따른 실질적 퇴진과 국회의 탄핵, 대통령 자진 하야 등으로 3당 간은 물론 각 당 내부에서도 의견이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추 대표의 독단적인 영수회담 추진에 대한 야권의 ‘뒤끝’도 없지는 않다.

박 위원장은 이날 CBS라디오에 나와 “어떻게 그렇게 똑같은 제1야당 대표와 대통령이 있는가, 이 나라는 참 불행하다는 생각을 했다”며 “추 대표로서는 중간에 한 사람을 두고 며칠간 추진한 것으로 그렇게 알고 있다. (그 사람은) 추미애의 최순실”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