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 비대위원장 내려놓는 박지원…탄핵전선 ‘변수’ 되나

내주 비대위원장 내려놓는 박지원…탄핵전선 ‘변수’ 되나

입력 2016-12-02 13:36
업데이트 2016-12-02 1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내대표직은 유지…차기 비대위원장 김동철과 호흡 주목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오는 5일 비대위원장직을 내려놓을 예정이어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전선에 변수가 될지 주목된다.

국민의당은 2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박 비대위원장 후임으로 김동철 의원을 추천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인준안을 5일 예정된 중앙위원회에 올리기로 했다.

애초 내년도 예산안이 통과되면 박 비대원장이 물러나기로 했던 데 따른 것이다.

별다른 변수가 없다면 김 의원에 대한 인준안이 중앙위원회에서 통과될 것으로 보여 박 비대위원장은 지난 4개월여간 맡았던 비대위원장 직함을 내려놓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원내대표 직은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국민의당은 전날 당론을 5일 탄핵소추안 표결로 정하면서 중앙위원회의 일정을 앞당기거나 늦추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이날 야 3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9일 탄핵소추안 표결을 하기로 일정을 조율하면서 예정대로 중앙위원회를 열기로 확정했다.

박 비대위원장이 이번 탄핵정국에서 국민의당의 좌표와 방향타를 잡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해 왔다는 점에서 비대위원장직을 내려놓으면 일정 부분 탄핵전선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민주당과 정의당이 전날 ‘2일 탄핵’을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제동이 걸린 것도 바로 박 비대위원장이 9일 처리를 주장하며 막아선 데 따른 것이다.

국민의당 내부에서도 전날 본회의 전 열린 의총에서 안철수 전 대표와 정동영 의원이 ‘2일론’을 주장했는데도 채택이 되지 않은 것은 주승용 유성엽 등 호남 중진들이 박 비대위원장의 ‘9일론’에 동조한 데 따른 것이다.

박 비대위원장은 탄핵안 가결에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과 접촉하는 데 있어 ‘핫라인’ 역할을 해 왔다.

박 비대위원장은 원내대표직을 유지해 지도부 신분을 유지하게 되지만 당 지도부의 의사결정이 중요한 탄핵정국에서 영향력이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더구나 차기 비대위원장직을 맡는 김 의원이 탄핵정국에서 박 비대위원장과 입장차를 보여온 점도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은 박 대통령의 3차 대국민 담화에 대해 “처음으로 조기퇴진 의사를 밝힌 것은 평가해야 한다”면서 “박 대통령의 퇴진 일정을 국회가 논의하자”고 수용 의사를 나타내기도 했다.

이 같은 인식 차가 이어진다면 앞으로 국민의당 지도부가 의견을 정하는 데 있어 난항을 겪어나 파열음이 터져나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애초 차기 비대위원장 역할은 내년 1월15일께 열릴 전망인 전당대회의 안정적인 관리였던 만큼, 지도부 내에서 탄핵정국 대응에 대한 일정한 역할분담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국민의당 관계자는 “박 비대위원장과 김 의원 간에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했던 만큼, 차기 지도부가 호흡을 맞추는 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정기국회를 마무리하고 탄핵 국면의 추이를 보면서 원내대표직을 던진 뒤 차기 당 대표 선거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