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행 체제에 제동 거는 3野

황교안 대행 체제에 제동 거는 3野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6-12-14 01:06
업데이트 2016-12-14 0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대표·황 대행 주내 회동 제안

“국정운영 협치·개혁입법 등 논의” 野, 박근혜표 정책 견제 고삐

야 3당 대표는 13일 현 정부의 적폐 청산과 개혁 입법 추진을 위해 적극 공조를 다짐하는 등 ‘박근혜표’ 정책에 대해 야 3당이 함께 제동을 걸기로 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전날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유임시키는 등 ‘황교안 대행 체제’가 강공으로 선회하는 상황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야 3당 대표는 일단 대통령 권한대행의 권한 범위와 국정 수습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황 권한대행과 정당대표들 간 회동을 제안했다.

하지만 야권은 여전히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와는 대화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차기 원내대표 선거에서 친박계가 승리할 경우 협치는커녕 대치가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국민의당 김동철·정의당 심상정 등 야3 당 대표는 이날 국회 회동에서 이번 주내라도 황 권한대행만 가능하다면 정당 대표들과 회동을 갖는 데 합의했다고 3당 대변인이 전했다. 다만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와 회동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은 그대로다. 이와 관련, 민주당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이 대표는 지금 대표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태이지 않나”라면서 “법적 대표니까 참여하겠다고 하는 것은 곤란하다. 새누리당은 상황이 정리된 후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처음 회동을 가진 야 3당 대표는 ▲헌법재판소는 촛불민심을 받들어 탄핵 심판을 신속 진행 ▲황 권한대행은 국회 협의 없이 일상적 국정 운영 넘어서는 권한대행 불가 ▲황 권한대행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진상 규명과 개혁 추진 협력 등 5개항을 합의문에 담았다.

전날 여야 3당이 여·야·정 협의체 구성에는 합의했지만 참여 주체에 대해 이견을 보였던 것과 관련, 3당 대표는 별도의 논의는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당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정당 대표와 황 권한대행 간 회동에서 과도적 국정 운영 협치 문제나 개혁 입법 과제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6-12-14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