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대표 주호영·정책위의장 이종구 합의 추대

원내대표 주호영·정책위의장 이종구 합의 추대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6-12-27 22:50
업데이트 2016-12-27 2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대 지도부 친유·친김 빼 私黨 논란 차단

27일 가칭 개혁보수신당이 첫 번째 원내대표·정책위의장으로 추대한 주호영(왼쪽·대구 수성을), 이종구(오른쪽·서울 강남갑) 의원의 조합은 갈등과 분열을 피하기 위한 한 수로 평가된다.

두 의원은 비주류 성향이지만 ‘친김무성’, ‘친유승민’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은 인물들이다. 개혁신당은 계파 성향이 짙은 인물을 배제하고 창당을 주도한 김 전 대표와 유 전 원내대표는 뒤로 물러서는 모양새를 취해, 특정 중진의 사당(私黨)이라는 논란을 미리 방지한 셈이다. 원내사령탑을 뽑는 과정을 경선이 아닌 추대 형식으로 한 것도 당이 시작하는 때부터 경쟁하고 갈등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 원내대표는 대구·경북(TK) 출신이고, 이 정책위의장은 부산·경남(PK) 출신에 서울 강남이 지역구다. 이들을 추대한 배경엔 앞으로 새누리당과의 보수 적통 경쟁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의미가 내포돼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두 의원의 전문성은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조합에 최적의 조건이다. 판사 출신인 주 의원이 입법 관련 상황을 총괄하고 정당 간 이견을 조율하고, 이 의원은 경제관료 출신이라는 ‘전공’을 살려 당 정책 현안을 다루게 된다.

공교롭게도 둘은 친박(친박근혜)계와 묘한 ‘악연’이 있다. 주 원내대표는 20대 총선에서 친박계 후보에게 밀려 공천에서 탈락한 뒤 이를 인정하지 않고 무소속으로 당선, 새누리당으로 돌아왔다. 이 정책위의장은 당선자 워크숍에서 친박 좌장 최경환 의원에게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삭발하라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6-12-28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