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朴 경제교사-삼성저격수’ 쌍끌이 영입…‘원칙적 통합’ 부각

文 ‘朴 경제교사-삼성저격수’ 쌍끌이 영입…‘원칙적 통합’ 부각

입력 2017-03-15 13:42
업데이트 2017-03-15 1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 싱크탱크’ 이끈 김광두 합류…김종인 결별 후 다시 ‘외연확장’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문재인 전 대표가 15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제 가정교사’로 불렸던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과 ‘삼성 저격수’로 알려진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을 영입했다.

여기에 중도·진보 성향으로 사회통합을 주장해 온 김호기 연세대 교수도 합류했다.

보수 진영의 대표적 경제학자 중 한명인 김 원장과 재벌개혁론자인 김소장을 동시에 끌어안음으로써 적폐청산의 원칙을 지키면서도 사회를 통합하겠다는 ‘원칙적 통합’ 기조를 부각하는 행보로 풀이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너무 다양한 사람들로 ‘경제 컨트롤타워’가 꾸려지면서 오히려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영입발표 기자회견에서 “새로운 대한민국의 비전은 개혁적 보수와 합리적 진보가 뜻을 모아 만들어야 한다”며 “진영에 갇힌 대통령은 성공한 대통령이 될 수 없다. 보수와 진보의 차이를 넘어 원칙있는 국민통합을 이루겠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문 전 대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들이 주최하는 토론회에서 축사하기도 하고, 별도로 경제 공부 모임도 하는 등 영입에 공을 들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김 원장의 경우 18대 대선 당시 박 전 대통령의 ‘싱크탱크’ 역할을 했던 국가미래연구원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됐다.

일각에서는 지난 총선을 앞두고 영입한 김종인 전 대표가 최근 당을 떠나면서 문 전 대표의 ‘통합적 리더십’에 대해 일각에서 문제제기가 나오는 상황에서, 김 원장의 영입은 다시 외연확장과 통합의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는 카드라는 분석도 나온다.

나아가 경제개혁연대를 이끈 김 소장을 앞세워 재벌개혁·적폐청산의 의지를 부각하는 모습이다.

김 소장이 선거 후보자에 대한 지지와 캠프 참여를 선언하는 것은 1997년 국민승리 21 정책자문단 ‘총무국장’을 맡은 이후 처음으로, 문 전 대표 측은 “그동안 정치권에 거리를 뒀던 만큼 영입하는 데 힘이 들었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우리가 이 자리에 모인 것은 정권교체에 대한 절박감, 국민의 삶에 대한 절박감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캠프 관계자 역시 “이날 영입은 ‘경제통합 전도사’를 영입했다는 의미가 있다. 문 전 대표와 세 영입인사가 만나면서 보수와 진보를 넘어 격차 해소와 불평등을 해소하고 경제를 성장시키는 ‘경제통합’의 첫걸음을 내디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문 전 대표가 대한민국의 재설계에 가장 준비된 후보라는 점이 다시 확인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광폭영입’에는 최근 문 전 대표가 영입한 인사들이 잇따른 구설에 휘말린 상황에서, 스스로 위축되기보다는 오히려 더욱 인재영입에 박차를 가하는 방식으로 국면을 돌파하겠다는 의지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일각에서는 ‘적폐세력 청산’을 기치로 안희정 충남지사의 대연정을 반대했던 문 전 대표가 ‘박 전 대통령의 경제교사’와 손을 잡는 것은 모순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문 전 대표 측과 김 원장도 이를 의식한 듯 박 전 대통령의 당선 이후 경제정책에는 관여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김 원장이 인수위에도 들어가지 않고, 박 전 대통령 당선 후에는 정권과 거리를 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 역시 “정확하게 해 둘 것은 제가 선거과정까지 박 전 대통령을 도와드렸고 이후엔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가 시작된 이후의 정책은 저와는 상관이 없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경제 컨트롤타워’를 채운 인사들의 정체성이나 정책 노선이 워낙 다양해 오히려 혼란스러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제까지는 김진표 공동선대위원장, 이용섭 비상경제대책단장, 조윤제 국민성장 소장 등이 주로 경제 정책을 주도해왔다.

안 지사 측 의원 멘토단 단장을 맡은 박영선 의원은 페이스북에 “도대체 문 전 대표 캠프의 경제정책 지향점이 뭔지 혼동스럽다. 사공이 너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며 “대연정을 비판하며 박근혜 경제교사를 김종인 전 대표에 이어 두 번째로 모셔온 것은 일관된 논리에 맞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당장의 기업 순환출자 제한 등 다양한 경제정책을 두고 의견이 다른 듯한 모습도 감지됐다.

이에 대해 문 전 대표는 “함께하는 세 분이 정책역량을 보강하고 확대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모든 점에서 생각이 같을 수는 없다. 세부적 차이는 있지만, 크게는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