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朴 전대통령 철저한 수사 요구 속 구속 여부엔 말 아껴

야권, 朴 전대통령 철저한 수사 요구 속 구속 여부엔 말 아껴

입력 2017-03-15 13:46
업데이트 2017-03-15 1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통령기록물 지정에 증거인멸 우려 속 靑 압수수색 요구

야권은 검찰이 15일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해 출석 통보를 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자 법과 원칙을 통한 철저한 수사를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특히 박 전 대통령 재임 기간 청와대에서 생산한 각종 문건이 대통령기록물로 지정된 데 대해서는 증거인멸 우려를 보내며 청와대에 대한 압수수색을 요구하는 등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압박해 들어갔다.

박 전 대통령의 파면 불복 선언으로 악화된 ‘촛불 민심’을 반영하고 선명성을 부각시킨 것이다.

다만 야권에선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 수사 등의 민감한 부분에 대해선 언급을 자제한 채 촉각을 세웠다.

탄핵 이후 ‘국민 통합’이 화두로 떠오른 데다, 박 전 대통령의 구속이 자칫 보수층 결집으로 이어질 우려가 제기되는 등 박 전 대통령 수사가 조기대선 국면에서 여론에 영향을 미칠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문재인 전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검찰이 빠른 수사에 나간 것은 법과 원칙에 따라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더 나아가 청와대의 기록물이 파기된다거나 반출된다거나 유실되는 데 대한 염려가 많다”며 “청와대 압수수색도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대선주자인 안희정 충남지사 측 박수현 대변인은 논평에서 “박 전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검찰 조사를 성실히 받아 국민에 대한 마지막 도리를 다 하길 바란다”면서 “검찰도 조직의 명운을 걸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수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추미애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황 권한대행이 권한이 없음에도 박 전 대통령의 기록물을 대통령기록물로 지정하는 것은 봉인을 빙자한 증거인멸”이라며 “검찰은 신속한 청와대 압수수색으로 증거인멸을 막고 국정농단의 실체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박경미 대변인은 논평에서 “적폐 청산의 첫걸음이 검찰 손에 달려있음을 명심하고 오롯이 국민만 보고 추상같이 수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당장 대통령기록물 지정 등 대놓고 증거인멸이 벌어지는 상황인데, 청와대에 대한 즉각적인 압수수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검찰에 대한 우려가 기우에 그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대선주자인 안철수 전 대표 측 김혜연 부대변인은 “검찰은 이번 박 전 대통령의 소환을 계기로 직권남용과 뇌물수수를 포함한 13개 혐의에 대해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면서 “박 전 대통령 또한 이제 자연인 신분으로 출석조사 등 검찰 수사에 적극 응해 이제라도 헌법을 존중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주승용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황 권한대행은 대통령기록물 지정을 보류해야 한다”면서 “또한, 검찰의 청와대 압수수색을 허가해 박 전 대통령이 주장하는 진실이 사실인지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김경록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박 전 대통령은 검찰에 출석해서 조사에 충실히 임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며 “증거인멸 의혹 등의 행동이 더이상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검찰도 검찰의 명운을 걸고 철저히 수사해 명예회복의 계기로 삼기를 바란다”며 “만약 검찰이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를 하지 않는다면 국민은 다시 특검을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