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불출마에 대선판 ‘출렁’…5월 ‘장미대선’ 유동성 커져

황교안 불출마에 대선판 ‘출렁’…5월 ‘장미대선’ 유동성 커져

입력 2017-03-15 17:18
업데이트 2017-03-15 17: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기문 이어 黃권한대행까지 보수진영 1~2위 주자 모두 불출마

보수진영의 유력한 대선잠룡으로 거론돼온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5일 대선 불출마를 선언함에 따라 5·9 ‘장미대선’ 정국이 또 한 번 크게 출렁거리고 있다.

황 권한대행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보수 진영 잠룡 중 지지율 1위를 기록하며 그나마 야권 주자와 맞서볼 유일한 보수 후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전격적인 불출마를 선언해 야권 우위 구도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자유한국당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에 이어 황 권한대행마저 대선 후보군에서 이름을 지워야 함에 따라 야권으로의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는 것을 막고 다시금 유력한 주자를 만들어내야 하는 이중고의 상황에 처했다.

내부적으로 황 권한대행의 표심이 대구·경북으로 대표되는 ‘친박(친박근혜) 고정 지지층’이 주를 이루는 만큼 다른 당 후보로의 이동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보지만 황 권한대행을 대신할 뚜렷한 주자가 없다는 점은 뼈아픈 대목일 수밖에 없다.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야권은 야권에 더욱 ‘기울어진 운동장’을 십분 활용하면서 주자 간 경쟁이 한층 격해질 것으로 보인다.

당장 민주당은 반대 진영의 ‘최대 경쟁자’가 사라짐에 따라 선거전의 불확실성이 좀 더 제거되면서 정권교체 가능성이 커졌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문재인 전 대표는 자신의 독주 체제를 강화하면서 ‘대세론’을 더욱 고착화하는 효과를 얻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민주당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지사는 보수 표심이 흩어지는 현 국면이 대선판이 한 번 흔들리는 기회의 국면이라고 보고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부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의당 역시 ‘갈 곳 잃은’ 보수 표심의 분산 효과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특히 안철수 전 대표는 이념적으로 중도보수와 중도진보에서 상대적인 강점을 보여왔다는 점에서 ‘황교안 표’를 상당 부분 흡수해 반등의 기회를 잡을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한국당과 보수 주도권 경쟁을 벌여온 바른정당 또한 ‘황교안 불출마’의 반사이익을 노리고 있다. 보수층의 관심이 바른정당으로 쏠리고, 대선주자인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지사가 수혜주가 될 것이라는 시각에서다.

이에 따라 각 당이 대선 후보를 확정하는 3월말에서 4월초까지 남은 보름 내지 20일 가량은 ‘대세론 확산’과 ‘반전 모색’을 위한 정당 간, 주자 간 경쟁이 한층 더 가열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을 뺀 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김종인 전 민주당 대표 등 비문(비문재인) 진영이 추진하는 ‘반패권 개헌연대’가 얼마나 위력을 발휘할지도 관전 포인트다.

개헌연대는 ‘문재인 대세론’에 맞서기 위해 대선 구도를 ‘친문(친문재인) 대 반문’, ‘개헌 대 반개헌’으로 짜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에 비문 진영이 준비중인 회심의 카드다.

특히 비문 진영 일부에서는 단순히 명분 수준의 개헌연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연립정부 구성 합의 등을 전제로 후보단일화를 이뤄낸다면 민주당 후보와 일대일 구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기대감까지 내비치고 있다.

그러나 개헌의 방식과 시기에 대해 시각차가 존재하는데다 정당 간, 주자 간 정체성 문제 탓에 후보단일화를 이루기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아 성사 가능성을 장담하긴 쉽지 않다.

다만 한국당에서 상대적으로 친박 색채가 덜하거나 비박(비박근혜)계 주자가 후보로 선출된다면 정치권 일부에서 ‘친박의 표상’이라고 지칭해온 황 권한대행이 후보가 될 때보다는 연대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