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장, 日의회서 “北미사일발사 유감…북핵해결에 한일 협력”

정의장, 日의회서 “北미사일발사 유감…북핵해결에 한일 협력”

입력 2017-06-08 14:02
업데이트 2017-06-08 14: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오시마 중의원 의장 “교류 활성화…文대통령-아베 회담 특히 중요”다테 참의원 의장 “국제사회 단호 대처…한일, 미래지향적 관계 추구”

정세균 국회의장과 일본 의회 지도자들은 7일 북한 미사일 도발에 대한 한일 양국의 공조가 중요하다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북한이 지대함순항미사일을 발사한 이날 정 의장은 도쿄에 위치한 일본 중의회와 참의회를 차례로 찾아 오오시마 타다모리(大島 理森) 중의원 의장과 다테 츄이치(伊達 忠一) 참의원 의장 등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정 의장은 “북한이 오늘도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면서 “북핵 문제 해결과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 한국과 일본이 매우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고 김영수 국회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그러면서 “한반도의 비핵화는 한일 양국의 공통과제이다. 공동으로 긴밀히 노력하자”면서 “의회외교와 정상외교 모두 중요하다. 정상회담이 한동안 중단됐는데 (새 정부에서) 조기에 정상회담이 개최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양국 간 셔틀외교도 빨리 복원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에 오오시마 중의원 의장도 북한 미사일 도발을 언급, “북한 문제의 대처에 있어서는 한일과 유엔, 국제사회의 공조가 대단히 중요하다”면서 “특히나 한일 간 협력이 중요하고, 입법부 의장이 대화한 만큼 오늘을 계기로 교류가 더 활성화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전화통화로 의사소통을 해오고 있고, 지난번엔 문 대통령의 특사인 문희상 의원을 통해서도 메시지를 받았다”면서 “특히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회담이 중요하다. 정 의장이 문 대통령에게도 잘 전달해달라”라고 당부했다.

이어 “한일 의회 간 미래대화가 올해 서울에서 개최된다”면서 “여기에 중국도 포함해서 3자 의장 간 대화가 실현되면 좋겠다”라고 덧붙였다.

다테 참의원 의장 역시 “북한이 작년에 두 번 핵실험을 했고, 올해에도 탄도미사일 발사를 여러 차례 했다”면서 “일본 배타적경제수역에의 낙하 도발을 멈출 기미가 없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미국과 일본, 한국의 협력이 중요하고 국제사회의 협력과 단호한 대처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자리에서는 한일 어업협정 및 제2차 세계대전 징용 노동자 문제 등에 대한 의견도 오갔다.

정 의장은 오오시마 중의원 의장에게 “BC급 전범으로 징용 노동을 한 노동자들에 대해 일본에서 위로금을 주자는 입법이 폐기됐다 재추진하는 움직임이 있는데, 추진을 희망한다”면서 “한일 어업협정이 답보 상태다. 조속한 타결을 위해 의장의 관심을 부탁한다”라고 말했다.

이에 오오시마 중의원 의장은 “한일 어업협정은 정부에 잘 연락을 하겠다”면서 “또 역사는 어려운 문제지만 인내심을 갖고 장기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정 의장의 말에 전적으로 동감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한일 의원 축구 교류와 관련, “오는 17일 한국의 국회 운동장에서 열린다. 계속 지는데 이번에는 이겼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이에 정 의장이 “제가 뛰면 반드시 일본이 이길 것”이라고 말해 장내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정 의장은 “지난 4년여간 한일 관계가 퇴보하는 것 같은 상태가 만들어진 데 대해 반성하는 토대 위에서 미래 지향적인 성숙한 협력·동반자 관계를 만들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에 오오시마 중의원 의장은 “한국과 일본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관계”라고 강조했다.

다테 참의원 의장은 “새 정부가 출범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의장님이 일본을 방문한 것은 일한관계를 전향적으로 진행시키려는 양국의 강한 의사가 드러나는 것”이라면서 “때론 어려운 문제가 생기더라도 대승적인 관점에서 미래지향적 관계를 추구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