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첫 시정연설] 민주 “대통령 진심 담겨… 野, 협치 응답해야” 3野 “감성적 일자리론… 진단 공감·처방 반대”

[文대통령 첫 시정연설] 민주 “대통령 진심 담겨… 野, 협치 응답해야” 3野 “감성적 일자리론… 진단 공감·처방 반대”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7-06-12 23:02
업데이트 2017-06-13 18: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文대통령 시정연설 반응 제각각

문재인 대통령의 12일 국회 시정연설에 대한 정당들의 반응은 제각각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의 추미애 대표는 “대통령이 절절한 마음을 담아 국민과 정치권에 호소한 것에 진정성이 느껴진다”고 평가했다. 강훈식 원내대변인은 “하루라도 빨리 국회를 찾아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해, 긴밀하게 소통하고 협치하고자 하는 대통령의 진심에 야당은 대승적 차원의 협치 정신으로 응답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자유한국당의 반응은 정반대였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일반적인 내용이었다. 특별한 내용은 없었다”며 평가절하했다. 정용기 원내대변인은 “청년과 소방관, 여성 등을 향해 ‘감성적 일자리론’을 폈으나 ‘언 발에 오줌 누기 식’의 일자리 대책만 나열했을 뿐 그 부작용을 어떻게 감당할지에 대한 대책은 없었다”면서 “정부가 일자리를 직접 만드는 추경에 결코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국민의당은 “진단에 공감하고 처방에 반대한다”는 ‘반반’ 입장을 내놨다. 김유정 대변인은 “극심한 청년실업, 소득 격차 문제를 지적하며 일자리의 필요성을 강조한 문 대통령의 상황 인식과 진단에는 전적으로 공감한다”면서도 “그러나 실업대란과 고용절벽에 대한 대통령의 처방에 실효성이 없고 엉뚱하다. 공무원 숫자 늘리기가 청년실업이나 저소득층 소득 증대의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고 대통령이 강조한 좋은 일자리를 늘리는 해법도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바른정당 오신환 대변인은 “추경은 단기처방용 예산인데 청년실업, 소득양극화 등과 같은 장기적, 구조적 관점에서 풀어야 할 문제들을 추경으로 해결하겠다는 것은 논리적 모순”이라고 꼬집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7-06-13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