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유해발굴단, 2개 연구기관과 업무협약…과학적 기법 신원확인

軍유해발굴단, 2개 연구기관과 업무협약…과학적 기법 신원확인

입력 2017-10-26 09:58
업데이트 2017-10-26 09: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6·25전사자 신원확인 및 과학수사 발전’을 위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국립과학수사연구원(NFS)과의 공동연구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행사에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광식 원장,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최영식 원장,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이학기 단장 등 20여 명이 참석한다.

6·25전사자 유해 발굴을 위해 첫 삽을 뜬 2000년부터 현재까지 9천800여 위의 국군 전사자 유해를 발굴했으나 신원확인은 125명으로 발굴된 전사자 대비 약 1.3%에 불과하다. 6·25전쟁은 갑자기 발발한 전쟁으로 개인의 신원확인 관련 정보가 전무하기 때문이다.

6·25 전사자 유해의 신원확인은 주로 법의인류학적 분석 및 유전자(DNA) 검사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유가족 DNA 시료 확보 및 신원확인의 결정적 역할을 하는 유품 부족에 따라 신원확인율이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국방부 유해발굴단은 신원확인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DNA 검사와 함께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동위원소 분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 추진을 위해 KBSI, NFS와 공동연구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됐다.

동위원소 및 화학적 분석방법은 인삼, 배추, 한우와 같은 식물과 동물의 원산지 판별 방법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응용해 뼈, 토양, 물 등을 분석해 전사자의 출생지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방부는 “이를 통해 전사자가 생전 살았던 경로를 파악하고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 16개국의 전사자 국적 확인은 물론 유전자로 국적 확인이 어려운 북한, 중국 등 아시아계 유해의 판별에 동위원소 검사를 활용해 출생지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방사성 동위원소분석 방법 개발을 위해 국방부 유해발굴단과 KBSI, NFS는 다양한 국적, 지역 등의 샘플을 확보하고 샘플 테스트를 통해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