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바른정당 정책연대 시동…순항 여부 주목

국민의당-바른정당 정책연대 시동…순항 여부 주목

입력 2017-10-26 11:31
업데이트 2017-10-26 1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당 싱크탱크, 원전 주제 공동토론회…정책협의체도 추진“안보 등 핵심정책 차이, 지역기반도 달라…험로 예고”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26일 양측 싱크탱크 주최로 공동토론회를 개최하면서 정책연대에 시동을 걸었다.

양당 간의 중도정당 통합론이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의 ‘선 긋기’와 국민의당 내부 반발 등으로 급제동이 걸린 상황에서 정책을 매개로 한 협력관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특히 통합 찬성파의 경우 정책연대를 통해 정기국회에서 서로에 대한 신뢰를 쌓은 뒤 자연스럽게 내년 지방선거에서 선거연대를 하면, 그런 흐름이 결국 당대당 통합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두 당의 정체성과 직결되는 안보정책에서 큰 입장차가 있는 데다 보수통합론의 변수가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양당의 ‘동행’이 순탄치 않으리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국민의당 싱크탱크인 국민정책연구원과 바른정당 싱크탱크인 바른정책연구소는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공론화 활동 평가와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 수립의 과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는 지난 10일 두 기관이 선거구제 개편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 것에 이어 두 번째 합동 토론회다.

양당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공유하는 만큼, 정책연대의 실마리를 풀기 위해 적합한 이슈라고 판단해 토론회 주제로 선정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정부의 신고리 5·6호기 공사 중단으로 매몰 비용이 발생했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으며, 이후에도 일방적으로 탈원전 정책을 강행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공유하고 있다.

양당은 앞으로도 정부의 비정규직 정책, 최저임금 정책 등을 주제로 공동 정책 행보를 이어갈 전망이다.

하지만 두 당의 연대가 예상대로 쉽지 않으리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일단 아이러니하게도 양측의 시각차가 가장 큰 지점이 바로 양당의 정체성에 직결되는 안보정책이라는 점에서 험로가 예상된다.

실제로 국민의당 일각에서는 “햇볕정책을 반대하는 정당과 어떻게 손을 잡을 수 있나”라는 의견이 적지 않다.

국민의당 천정배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에서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 자신도 햇볕정책을 버려야만 서로 연대할 수 있다고 하지 않나. 이는 냉전적 안보관”이라며 “사실 한국당, 친박(친박근혜) 사람들과 별 차이가 없다”고 비판했다.

유 의원 역시 지난 22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국민의당이 안보문제에서 그동안 오락가락을 많이 했고 우리와 생각이 다른 정책이 분명히 있다”며 선을 그었다.

야권 관계자는 “가장 핵심적인 정책이 이렇듯 차이를 보인다면, 다른 정책에서 연대가 이뤄지더라도 그 의미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며 “선거연대나 당대당 통합으로 발전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당이 공통으로 ‘지역주의 타파’를 외치고는 있지만, 지역적 기반이 전혀 다르다는 점 역시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

두 당내 일부에서는 이렇듯 정체성이 확연하게 다른 만큼 선거연대 역시 쉽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최근 주춤하는 모양새이긴 하지만 보수통합론을 비롯한 정계개편론이 여전히 살아있다는 점 역시 변수가 될 수 있다.

국민의당의 한 관계자는 “바른정당의 전당대회 이후 급격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정책연대·선거연대 논의는 그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얘기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