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사드 갈등 ‘봉합’ 국면…다음 달 APEC에서 정상회담

한·중 사드 갈등 ‘봉합’ 국면…다음 달 APEC에서 정상회담

오세진 기자
입력 2017-10-31 10:15
업데이트 2017-10-31 1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를 둘러싼 한·중 갈등이 봉합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와 관련한 협의 결과문을 동시에 발표하며 “관계 개선”을 강조했다.
예정시간 40분 넘겨 75분간 회담
예정시간 40분 넘겨 75분간 회담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6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인터콘티넨털호텔에서 열린 첫 한·중 정상회담 시작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인사말에서 “한·중 관계를 실질적,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길 바라 마지않는다”고 말했다. 베를린 연합뉴스
양국은 또 다음 달 베트남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외교부는 31일 오전 10시 홈페이지를 통해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와 관련한 양국의 협의 결과문을 ‘보도자료’로 중국 측과 동시에 게재했다.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 결과’라는 제목의 문서에서 양측은 “최근 한·중 양국은 남관표 대한민국 국가안보실 제2차장과 쿵쉬안유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부장조리간 협의를 비롯해 한반도 문제 등 관련해 외교당국간 소통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문서에 따르면 한국 측은 사드 배치와 관련한 중국 측의 입장과 우려를 인식하고 한국에 배치된 사드 체계는 그 본래 배치 목적에 따라 제3국을 겨냥하지 않는 것으로서 중국의 전략적 안보이익을 해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중국 측은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해 한국에 배치된 사드 체계를 반대한다고 재천명했다. 그러면서도 중국 측은 한국 측이 표명한 입장에 유의했으며, 한국 측이 관련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기를 희망하다고 밝혔다.

또 양국은 군사당국 간 채널을 통해 중국 측이 우려하는 사드 관련 문제에 대해 소통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양국은 “한·중 관계를 매우 중시하며 양측 간 공동문서들의 정신에 따라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발전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박근혜 정부 시절인 지난해 7월 정부의 사드 배치 공식 발표 이후 13개월 간 계속된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와 이를 둘러싼 양국 정부의 갈등은 일단 수습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